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농촌사회및복지

    과제성격
    연구보고 (R954)
    저자
    김정섭 , 김미복; 김수린; 허주녕; 권오현; 하인혜; 남원호; 오단이
    등록일
    2023.02.1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 실천은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여러 방면의 난경을 극복하려는 주민들의 자조(自助) 움직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농촌 주민 스스로 협동과 연대의 가치를 내세우며 등장한 사회적 경제 실천은 돌봄, 교육, 환경,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 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주민의 자율적이고 집합적인 실천이지만, 각 분야마다 관련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놓칠 수 없다.

    여러 분야의 정책이 농촌 주민의 사회적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관련 제도 및 정책 동향과 정책 요구
      제3장 주요 활동 분야별 관련 정책 사례와 시사점
      제4장 지원 영역별 농촌 사회적 경제 정책 과제
      제5장 결론

    요약문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 실천은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여러 방면의 난경을 극복하려는 주민들의 자조(自助) 움직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농촌 주민 스스로 협동과 연대의 가치를 내세우며 등장한 사회적 경제 실천은 돌봄, 교육, 환경,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 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주민의 자율적이고 집합적인 실천이지만, 각 분야마다 관련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놓칠 수 없다.

    여러 분야의 정책이 농촌 주민의 사회적 경제와 접합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다. 정부의 어떤 정책들은 그 실행 과정에서 사회적 경제를 추구하는 농촌 주민들의 의지와 실천을 수용하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아예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 그 자체를 목표로 삼아 기획되고 실행되는 정책도 등장했다.

    이 보고서는 사회적 경제라는 전망하에서 여러 부문의 정부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정책사업 시행지침 등의 규정뿐만 아니라 정책이 실행되는 현장에서 제기되는 요구를 광범위하게 검토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정섭 (Kim, Jeongseop)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580 0 302 0 1
    •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송미령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김광선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방문 진료 실태와 개선 과제

      농촌지역 방문 진료 실태와 개선 과제
      조승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서비스기준 개선 방안 연구

      농어촌서비스기준 개선 방안 연구
      심재헌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2022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2022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영유아 돌봄 시설 확대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영유아 돌봄 시설 확대
      김나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 영향평가: 분만의료 도·농간 격차 해소

      농어촌 영향평가: 분만의료 도·농간 격차 해소
      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형 커뮤니티 케어 정책 과제

      농촌형 커뮤니티 케어 정책 과제
      김남훈
      2020.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빈집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빈집 실태와 정책과제
      정문수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결혼이민여성 농업교육 개선방안 연구

      결혼이민여성 농업교육 개선방안 연구
      박대식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
      조승연
      2020.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개편 방향 연구: 농촌중심지 유형 구분 및 거점서비스 진단 기준 개발을 중심으로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개편 방향 연구: 농촌중심지 유형 구분 및 거점서비스 진단 기준 개발을 중심으로
      송미령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심층연구 - 농촌지역 비대면 보건·의료 서비스 개발·활용 방안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심층연구 - 농촌지역 비대면 보건·의료 서비스 개발·활용 방안
      최경환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심층연구 - 농촌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형 개발 및 확산 방안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심층연구 - 농촌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모형 개발 및 확산 방안
      김남훈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2020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성주인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2020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김민석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1.12.24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2040 한국 농업 미래 시나리오 연구
  • 이전글 농축산물 가격 변동에 대응한 효율적인 위험관리 수단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