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2019 국제농업박람회 기본계획
  • 
						    2019 국제농업박람회 기본계획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7-37)
    저자
    정은미 , 김주호
    등록일
    2017.12.30
  • 전남은 2002년부터 매년 농업박람회를 개최하며 농업・농촌의 변화를 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2년부터 2015년, 2017년 3차 개최된 국제농업박람회는 우리나라 농업을 대표하는 종합 박람회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확보하고 농업・농촌의 트랜드를 널리 확산시키는데 기여했다.
    농도 전남에서 개최되는 국제농업박람회는 지역의 독자적인 사회문화가 잉태한 다양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변화를 주도하는 행사이다. 국제농업박람회를 통해 한국 농업의 비전을 제시하고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며 더불어 지방시대에 걸맞게...

  • 목차

    • 제1장 사업 개요
      제2장 개최여건 분석
      제3장 국내외 농업박람회 사례 및 시사점
      제4장 2019 국제농업박람회 기본구상
      제5장 2019 국제농업박람회 기본계획
      제6장 2017 국제농업박람회 경제성 분석

    요약문

    전남은 2002년부터 매년 농업박람회를 개최하며 농업・농촌의 변화를 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2년부터 2015년, 2017년 3차 개최된 국제농업박람회는 우리나라 농업을 대표하는 종합 박람회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확보하고 농업・농촌의 트랜드를 널리 확산시키는데 기여했다.
    농도 전남에서 개최되는 국제농업박람회는 지역의 독자적인 사회문화가 잉태한 다양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변화를 주도하는 행사이다. 국제농업박람회를 통해 한국 농업의 비전을 제시하고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며 더불어 지방시대에 걸맞게 지방 주도로 지역 주민의 정체성과 자존감도 높인다. 그러므로 세계 속에 전남을 알리고 지역민에게 세계 농업・농촌의 동향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국제농업박람회는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국제행사이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지속된 농업박람회가 농업분야 정부 정책과 국제 정세를 반영하여 국제 수준의 박람회로 발전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도출하고 국제농업박람회의 분야별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제농업박람회의 수익성 분석으로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빛가람도시(광주・전남 혁신도시)로 이전한 세계 수준의 농업관련 기관(aT, 한국농어촌공사 등)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전시, 운영, 홍보, 시설, 유치 등 분야별 계획 및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였다.

    저자정보

    정은미 이미지

    저자소개
    정은미
    - 연구위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정은미 이미지

    저자소개
    정은미
    - 연구위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8276 3 0 9 9
    •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송우진
      2024.02.29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