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기 체결 FTA 사후영향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기 체결 FTA 사후영향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제농업

    과제성격
    정책연구(P) (P205)
    저자
    한석호 , 정민국; 남경수; 정호연; 이수환
    등록일
    2015.08.07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무역의존도가 80%를 넘는 우리나라는 다자무역체제인 WTO/DDA 협상이 지체되면서 국가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통상정책의 우선순위를 주요국과의 FTA 추진에 두고 있다. 그 결과 현재 20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싱가포르, EFTA(유럽자유무역연합), ASEAN, 인도, EU, 페루, 미국, 터키, 호주, 캐나다 등과 FTA를 발효 중이며, 콜롬비아,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등과는 발효 절차를 준비 중이다.

    FTA 이행이 가속화될수록 기 체결된 FTA 대상국별 농산물 양허 내용, 농산물 교역 등을 분석하여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FTA 영향평가모형 비교
      제3장 기 체결 FTA 사후영향평가 방법론 도출
      제4장 결론

    요약문

    무역의존도가 80%를 넘는 우리나라는 다자무역체제인 WTO/DDA 협상이 지체되면서 국가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통상정책의 우선순위를 주요국과의 FTA 추진에 두고 있다. 그 결과 현재 20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싱가포르, EFTA(유럽자유무역연합), ASEAN, 인도, EU, 페루, 미국, 터키, 호주, 캐나다 등과 FTA를 발효 중이며, 콜롬비아,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등과는 발효 절차를 준비 중이다.

    FTA 이행이 가속화될수록 기 체결된 FTA 대상국별 농산물 양허 내용, 농산물 교역 등을 분석하여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사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될 것이며,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발효 후 10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통상조약에 대하여 이행상황을 정부가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이 연구는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 제15조(통상조약의 이행상황 평가 및 보고)와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통상조약의 이행상황 평가 주기)를 근거로 그동안에 추진되어 온 농업관련 FTA 사후영향평가 방법 및 모형 개발방향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한석호 (Han, Sukho)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6005 0 39 0 0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
      2024.06.21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호주의 농업 및 농산물 교역동향
  • 이전글 농업수입보장보험 도입을 위한 농산물 기준가격 산출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