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Effects of Crop Commercial Orientation on Productivity of Smallholder Farmers in Drought-prone Areas of the Central Rift Valley of Ethiopia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Adam Bekele , Kassa Belay; Belaineh Legesse; Tesfaye Lemma
    등록일
    2010.10.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This paper examines the tradeoff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crop productivity among smallholder farm households living in drought risk-prone areas of the central rift valley of Ethiopia. The study was built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one-way causation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

  • 목차

    • 1. Introduction
      2. The Data and sampling frame
      3. Method of analysis
      4. Results and discussion
      5. Summary and conclusions
    • 1. Introduction
      2. The Data and sampling frame
      3. Method of analysis
      4. Results and discussion
      5. Summary and conclusions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the tradeoff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crop productivity among smallholder farm households living in drought risk-prone areas of the central rift valley of Ethiopia. The study was built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one-way causation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produ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crop productivity is assessed in a censored simultaneous equation model framework.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uni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total factor productivity being influenced by the endogenous commercial orientation factor.
    The influence of commercial orientation is expounded with the addition of farm and non-farm characteristics. Thus, in priority order, number of non-oxen livestock, commercial orientation, agricultural credit and sex have been important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productivity whereas labor availability for farming, distance and off-farm wage labor employment have been working against increased productivity of the smallholder farm households.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with a shift from commercial orientation criteria to unrestricted level of market participation in crop sales, the type, magnitude and direction of determinant factors have increased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along with market participation to the majority of the smallholder farm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s targeted at improving market access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is paper examines the tradeoff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crop productivity among smallholder farm households living in drought risk-prone areas of the central rift valley of Ethiopia. The study was built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one-way causation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produ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orientation and crop productivity is assessed in a censored simultaneous equation model framework.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uni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total factor productivity being influenced by the endogenous commercial orientation factor.
    The influence of commercial orientation is expounded with the addition of farm and non-farm characteristics. Thus, in priority order, number of non-oxen livestock, commercial orientation, agricultural credit and sex have been important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productivity whereas labor availability for farming, distance and off-farm wage labor employment have been working against increased productivity of the smallholder farm households.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with a shift from commercial orientation criteria to unrestricted level of market participation in crop sales, the type, magnitude and direction of determinant factors have increased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along with market participation to the majority of the smallholder farm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s targeted at improving market access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Adam Bekele (Adam Bekele)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Adam Bekele (Adam Bekele)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9994 0 0 0 0
    •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김우석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김덕파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전무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김민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은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이현근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남경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문동현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조용빈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고정직불제도의 생산연계효과 계측
  • 이전글 Inflation and Intramarket Price Variability: Empirical Evidence from U.S. Food Produc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