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촌정주생활여건의 지역간 실태비교와 개선방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촌사회및복지

    과제성격
    연구보고 (R490-2)
    저자
    김창현 , 박종택; 이성수; 박인권
    등록일
    2004.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이 연구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도(都) 농(農)격차해소를 위해 도농간 정주생활 여건 격차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인한 농촌인구의 과소화와 고령화, 질적 측면에서의 생활환경의 악화 등 도-농 간(都農間) 격차와 농촌지역 상호 간의 격차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도농간 격차, 농-농 간(農農間) 격차에 대한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 간 격차와 정주생활 여건간의 상관성을 구명(究明)하여 정책적 ...

  • 목차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3
      3. 연구의 틀 6
      제2장 지역개발정책의 전개
      1. 우리나라 국토·지역개발정책의 이론적 근거 8
      2. 우리나라 지역개발정책의 전개 13
      3.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전개 28
      4. 외국의 농촌개발계획 및 제도 42
      5. 농업·농촌의 기능 및 역할 변화와 정책 과제 55
      제3장 인구의 도농간 비교 분석과 유형 구분
      1. 인구 변화의 도농간 비교 63
      2. 인구 노령화의 도농간 비교 73
      3. 인구 고학력화의 도농간 비교 85
      4. 지역 격차와 유형 구분 98
      제4장 정주생활 여건의 도농간 비교 분석
      1. 생활기반 관련 여건 116
      2. 정보·의료복지·교육문화 여건 147
      3. 교통접근성·대도시 연계성 여건 177
      4. 실태분석의 종합 186
      제5장 정주생활 여건과 지역 격차 요인 분석
      1. 정주생활 여건과 지역발전 격차의 상관성 분석 193
      2. 정주생활 여건 인식의 지역 간 비교 분석 199
      3. 지역 격차의 결정요인: 정주생활 여건 224
      제6장 정책적 시사점과 대응방향
      1. 정책적 시사점 228
      2. 정책적 대응 방향 229
      부록 1. 실태분석 관련 참고자료 235
      부록 2. 설문조사표 256
      참고 문헌 268

    요약문

    이 연구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도(都) 농(農)격차해소를 위해 도농간 정주생활 여건 격차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인한 농촌인구의 과소화와 고령화, 질적 측면에서의 생활환경의 악화 등 도-농 간(都農間) 격차와 농촌지역 상호 간의 격차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도농간 격차, 농-농 간(農農間) 격차에 대한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 간 격차와 정주생활 여건간의 상관성을 구명(究明)하여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고, 농촌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 개선과 농촌에의 인구정착 유도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하 본문 참조)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현 (Kim, Changhyu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6879 0 56 0 0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의 이야기

      202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의 이야기
      KREI
      2023.12.2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노인 맞춤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노인 맞춤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김수린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송미령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김광선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방문 진료 실태와 개선 과제

      농촌지역 방문 진료 실태와 개선 과제
      조승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서비스기준 개선 방안 연구

      농어촌서비스기준 개선 방안 연구
      심재헌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1.12.24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농어촌 삶의 질 향상의 길, 학교에서 찾다

      2021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농어촌 삶의 질 향상의 길, 학교에서 찾다
      KREI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구감소 시대, 농촌 삶의 질 향상 정책 개선방안 연구

      인구감소 시대, 농촌 삶의 질 향상 정책 개선방안 연구
      송미령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구현을 위한 관계인구 활용 방안
      송미령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의 이야기

      202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의 이야기
      KREI
      2023.12.26
      KREI 보고서

      더보기

    • 
														    행복한 삶의 출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농어촌 만들기

      행복한 삶의 출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농어촌 만들기
      KREI
      2022.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정문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김남훈
      2021.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산업활동의 지역간 실태비교와 농촌지역 산업활성화
  • 이전글 중국의 중단립종 쌀 생산·수출 잠재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