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농식품산업동향 

제4유형
  • EU, 한발로 작물생산량 크게 감소 예상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정섭
    등록일
    2003.08.27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EU 집행위원회의
      합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JRC)는 올해 계속된 가뭄으로 인해 작물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예측치의 기초가 되는 연구를 맡았던 책임자인 집행위원 Philippe Busquin는 기상이변이라는 상황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끼쳐 왔으며,
      현재 EU가 보유하고 있는 작물 수확량 예측 시스템의 기술 수준으로 이 같은 가뭄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유럽의 농업정책 관련 의사결정으로
      효과적인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JRC의 작물 지표
      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올해 유럽을 휩쓸고 있는 극단적인 이상기온 현상은 특히 중부 유럽과 남부 유럽의 농업지대에서의 수확량과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겨울 작물들은 혹독한
      추위와 늦봄의 서리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며, 6월 초부터 시작된 무더위는 작물의 성숙 시기를 10 내지 20일 정도 앞당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리하여 주요 곡물들은 토양 수분 상태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결실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올해 유럽에서는 태양
      복사열 수치와 기온이 매우 높았는데, 특히 7월 중하순과 8월초에 그러했다. 이는 작물의 수분 소비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그리고 여름철의 가뭄과
      더불어 작물들이 사용할 수 있는 토양 내 저수량을 심각하게 부족하게 만들기도 했다. 올해 4월 이후, 강우로부터의 수분 공급과 작물의 수분
      요구량의 균형을 표시해주는 '기상수분균형 지표(climatic water balance indicator)'는 유럽연합 회원국들 대부분의
      경우에서 심각한 수분 부족 상태를 보여주었다.
      지난 8월 14일 발표된
      수확량 예측치는 8월 10일까지의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된 것이다. 그 내용을 주요 작물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 밀(연질소맥류와 듀럼
      밀을 포함) 수확량은 전년 대비 6.6% 정도 수확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EU 15개국에만 국한할 때, 밀 수확량은 약 7%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의 기상이변으로 인해 밀 수확량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국가는 프랑스(약 9% 감소 예상), 독일(7% 감소
      예상), 이탈리아(12.3% 예상), 포르투갈(약 15% 감소 예상)이다.
      ⑵ 옥수수 수확량은 전년
      대비 10.1%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름철의 토양 수분함량이 이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ha 당 평균 8.2 t 정도의 수확량 감소가
      예상된다. 최근 몇 년간 유럽의 옥수수 평균 수확량(1998-2002년)은 ha 당 9.0 t이다. 이례적으로 건조하고 뜨거운 올해 여름철 기상
      상태는 관개를 받아 재배되는 작물들의 경우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관개의 제약으로 인해 EU의 옥수수 수확량은 생각보다 더욱 크게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⑶ 평지 수확량은 전년
      대비 4.2%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전체의 평균 수확량은 약 2.9 t/ha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평균
      수확량(3. 1t/ha)에 비해 약 6.6% 감소한 수치이다.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평균 수확량과 비교할 때 각각 11%와 10%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평지는 개화시기인 4월 하순의 냉해와 성숙기의 강우량 부족으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⑷ 해바라기 수확량은
      전년 대비 25.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외적으로 건조한 여름철 기상조건이 관개 없이 재배되는 작물들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평균 수확량과 비교할 경우 약 22.0%의 감소가 예상된다.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국가는 스페인과 이탈리아이다.
      ⑸ 사탕무 수확량은 전년
      대비 7.2%의 감소가 예상된다. 건조한 기상 상태가 수확될 사탕무의 중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해 사탕무 평균 수확량은 62.5
      t/ha였는데, 올해의 경우 58.3 ha/t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당분함량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버 해협과 북해
      연안의 사탕무 생산지대가 가장 피해를 덜 입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⑹ 감자 수확량은 전년
      대비 2.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EU 전역에서의 감자 수확량 예측치는 35.7 t/ha이다(지난해 평균 수확량 36.5 t/ha).
      감자의 품질 또한 상당히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EU,
      RAPID에서
      (김정섭
      jskkjs@empal.com 02-2205-0729 지역아카데미)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정섭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690 0 5 0 0
  • 다음글 일본, 2003년산 쌀가격 대폭 상승
  • 이전글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200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