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정주 만족도 조사

[2020 정주 만족도] 2020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2021.02.05
1676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연구의 목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어업인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46조에 따라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으로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농어촌 지역 삶의 질 실태를 파악하여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첫째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그 결과를비교 분석하여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의 현 위치를 파악하였다전국 17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도시 및 농어촌 주민 3,0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방문 면접 조사를 병행하였다특히 올해부터추진되는 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이하 4차 삶의 질 기본계획’)의 4대 정책 추진 전략에 따라 부문별 조사 항목을 개편하였다.

둘째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인구 통계적 특성농어촌 지역 유형에 따른 각 정책 부문 여건 만족도 차이 및 이주 의향을 살펴보았다주민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연령별농어업 종사여부별귀농·귀촌 여부별로 살펴보았으며농어촌 지역유형은 읍·면 격차를 확인하고 근교·면 소재지원격 평야원격 산간원격 어촌 등 5개 지역 구분에 따른 정주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중 농어촌 주민의 행복감과 현재 거주 지역에서의 만족감은 도시 지역보다 높지만거주 지역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난다주관적 웰빙 지수는 전년도와 비교하여 상승하지는 않았으나도시 지역보다 높은 경향을 유지하고 있었다공동체 및 지역사회 지수의 조사 결과 역시 농어촌 지역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4차 삶의 질 기본계획의 정책 부문에 따른 세부 여건에 대한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도시 지역보다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면각 여건에 대한 읍·면 지역의 만족도 격차가 다르게 나타날 뿐 아니라주민의 특성과 농어촌 지역의 유형에 따라 각 여건에 대한 평가가 상이하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각 정주 여건에 대한 도·농 격차발생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둘째농어촌 지역 주민의 계층별지역 특성별상이한 수요에 부합하도록 삶의 질 정책을 다각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농어촌 인구의 잠재적인 이탈 요인을 극복하도록 해야 한다.


목차

1장 서론

2장 조사 개요

3장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비교

4장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특성

5장 결론 및 시사점

 

 

다음글
[2021 정주 만족도] 2021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이전글
[2019 정주 만족도] 2019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