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세계 곡물재고율 최근 5년 만에 최저” "세계 곡물시장 전망" 국제심포지엄 개최
1913
원문

 

                                      세계 곡물재고율 최근 5년 만에 최저

        

                             KREI, '세계 곡물시장 전망' 국제심포지엄 개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이동필)은 ‘세계 곡물시장 전망: 곡물가격 변동의 시사점 및 식량정책’이란 주제로 국제심포지엄 개최

 

   ◦ KREI는 10월 19일 플라자호텔에서 ‘세계 곡물시장 전망: 곡물 가격 변동의 시사점 및 식량정책’이란 주제로 국제심포지엄 개최했다.

 

   ◦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 랠프 기포드 과장은 “2012/13년 세계 곡물재고율은 18.5%가 될 것으로 전망”하며, “2008년 국제곡물가격 급등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2012/13 세계 주요수출국의 밀 재고량은 최근 5년 만에 최저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옥수수는 최대생산국인 미국이 흉작으로 인해 생산량이 전년대비 13.4%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대두는 중국의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여서 향후 대두 시장이 중국에 의해 좌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 미국 곡물가격 변동에 따라 경기 조정형 바이오연료 정책 도입 검토

 

   ◦ World Perspectives 개리 블루멘탈 회장은 “미국은 10여년 전 곡물 생산량이 너무 많아 농산물 가격이 낮아져 농업부분에 자본을 유치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어 인위적으로 곡물 수요를 창출해서 이 문제를 해소했다.”라고 밝히며, “현재 미국은 가격변동성에 대응하여 경기 조정형 바이오연료정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식량이 충분할 때 곡물을 바이오연료로 변환하고 식량재고가 부족하면 바이오연료 의무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 전 미국농사개량동맹 로스 코브스 수석경제학자는 “한 국가가 얼마나 많은 물리적 곡물 재고량을 보유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수반되는 비용과 시장왜곡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식량 안보와 관련하여 정책 입안자들은 국내 및 국제 자유시장을 십분 활용하여 선물계약 및 선도계약을 적극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국내 곡물수급 안정 위해 자급률 제고와 국제협력 강화해야

 

   ◦ KREI 성명환 곡물실장과 한석호 곡물관측팀장은 곡물수입국의 수급 및 가격안정방안으로 국내차원, 지역차원, 국제공조차원에서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 국내 대응방안으로는 유휴농지를 활용한 사료작물 생산 증대 및 농가소득직불제를 통한 식량자급률 제고, 곡물유통사업에 참여해 안정적 곡물확보 방안 등을 제시했다. 지역적 대응방안으로는 동아시아 비상 쌀비축제도의 활용, 해외농업개발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과 곡물생산기지 확보 등을 제시했고, 국제공조 차원에서는 WTO 국제무역 원칙을 제시했다.

 

 

 

   * 요약자료 내용 보기 

 

  * 발표자료 내용 보기

  

  * 관련사진 보기

 

  

                                                                                               ○ 제공일 : 2012년 10월 19일

                                                                                               ○ 제공자 : 성명환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66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