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농촌 문화산업 연간 매출액 1조 7천억 원에 달해"
1563
원문

 

 "농촌 문화산업 연간 매출액 1조 7천억 원에 달해"

 

                    
                  
'농촌 문화산업의 실태와 육성 방안' 연구 통해 밝혀

 

  

  
  농촌 지역경제의 성장 동력인 농촌 문화산업의 연간 매출액 규모는 1조7천억 원이며, 사업체 수는 12,503개소, 종사자 수는 117,672명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수행한 ‘농촌 문화산업의 실태와 육성 방안’ 연구에서 전국의 139개 농촌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추정한 결과이다.

 

  농촌 문화산업은 사업체나 종사자 규모에 있어 소규모이며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크지 않지만, 우리 농촌에서 농업부문 일자리가 감소하고 이를 상쇄할 만한 2‧3차 산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부족한 상황을 고려하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산업이다.

 

  농촌 문화산업은 ‘이윤추구를 위해 농촌의 문화유산을 상업화 하는 생산체계 또는 경제활동체계’로 이는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전통 공예산업’, ‘전통문화‧예술축제 및 전통소재 공연산업’, ‘문화유적 기반 농촌관광산업’, ‘농촌체험관광산업’ 등의 하위 부문이 포함된다. 이들은 전통성(역사성)과 지역성(향토성 및 고유성)에 기반한 문화적 가치를 상업화 한다는 공통성을 지니며, 농촌의 내생적 발전을 위한 산업기반으로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김광선 부연구위원은 농촌 문화산업 연구에서 농촌 문화산업의 육성을 위해서 중앙부처에서는 「농촌 문화산업 진흥법」(가칭)을 제정하고 ‘농촌 문화산업 진흥계획’(가칭)을 수립‧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관계 부처 간 긴밀한 협력‧조정이 가능하도록 농촌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자체 차원에서는 농촌의 문화자원 발굴, 동종 사업조직의 집단화, 전문인력 양성 및 주민 참여 활성화, 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내 협력체계 구성 등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 자세한 내용 보기

 

                                                                                               ○ 제공일 : 2012년 4월 12일

                                                                                               ○ 제공자 : 김광선 부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61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