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향후 5년 농정, 성장과 안정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이 바람직
1807
원문

 

 향후 5년 농정, “성장과 안정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이 바람직"

 

                 ‘농업·농촌의 중장기 변화 전망과 정책 과제’ 세미나 개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은 3월 28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농업·농촌의 중장기 변화 전망과 정책 과제’란 주제로 세미나 개최

 

 □ 향후 10년 농업·농촌, 거대 경제권과 FTA, 기후변화 등으로 빠르게 변모

 

  ○ 우리나라 농업·농촌을 둘러싼 메가트렌드는 글로벌 경제, 기후변화와 환경 중시, 과학기술 발전, 새로운 가치 지향, 고령화 사회

 

  ○ 2020년 농가인구는 현재의 70% 수준(220만명)으로 감소하고, 농업총생산액은 완만하게 증가(2022년 47조원; 2010년 불변가격)하지만, 생산비 증가로 부가가치는 현재보다 감소한 22조원이 될 것으로 추정, 호당 농업소득은 2022년 955만원으로 감소가 예상되나 농외소득 증가로 농가소득은 4,200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 농업·농촌투융자계획이 종료되는 2013년 이후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 필요

 

  ○ 향후 5년간(2013~2017)은 농어촌구조개선사업 성과를 계승하면서 성장과 안정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이 바람직함.

 

  ○ 농정 목표를 농어촌의 계층·지역 간 성장격차 축소로 정하고, 농업 정책은 “경쟁력(전업농)+일자리(겸·부업농, 고령농)” 방향 하에 식품산업 정책과의 연계·융합을 추진하고, 농촌 정책은 “농산업·생활공간+도농교류·전원 공간”의 병행 추진 필요.

 

 □ 향후 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

  

  ○ 농업정책 분야: ①거대 FTA 추진과 농업협상 대응, ②식량안보 시책의 강화, ③차세대를 위한 농림업 구조조정, ④농협개혁 완성과 농산물 유통혁신, ⑤소득안정 직불제 개편, ⑥협치 농정의 추진, ⑦한국 농업의 글로벌화 및 국제협력 강화

  

  ○ 식품정책 분야: ①고부가 식품산업 육성과 R&D 기반 확충 , ②농식품 수출 증대로 성장동력 확보, ③식품안전성 확보와 추진체계 개편으로 소비자 신뢰 구축, ④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⑤식생활·영양 등 식품소비 정책의 강화, ⑥국가식품시스템 구축

  

  ○ 농촌정책 분야: ①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높이는 정책 수단 발굴, ②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정책 개발, ③농촌 공간구조 재편 방향 설정과 관련사업 추진, ④마을단위 사업의 점검 및 개선 방안 마련, ⑤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농촌산업 활동 지원, ⑥농촌정책의 범정부적 추진체계 정비

 

   

 

 * 발표자료 요약본 내용 보기

 
* 관련 사진 보기


                                                                                               ○ 제공일 : 2012년 3월 28일

                                                                                               ○ 제공자 : 김정호 선임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221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