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지리적표시제 제 기능 할 수 있도록 홍보와 철저한 사후관리 필요"
1630
원문

 

 "지리적표시제 제 기능 할 수 있도록 홍보와 철저한 사후관리 필요"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지리적표시제도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통해 밝혀

 

  

  
  우리나라는 1999년 지리적표시제도를 도입, 2002년 보성녹차가 처음으로 등록한 이래 2011년 5월 현재 123개의 지역특산 농산물과 그 가공품이 등록되어 양적으로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두었다. 하지만 조사결과 15%만 지리적표시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홍보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수행한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지리적표시제도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 연구에서 드러났다.

 

  지리적표시 등록단체 52개를 대상으로 지리적표시의 활용 실태를 심층설문조사한 결과 해당 지자체가 생산자단체와 함께 지리적표시 등록을 추진였으나 등록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된 이유는 지리적표시의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반면,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노력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만 25세~59세 기혼 여성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15%만 “지리적표시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해 지리적 표시제가 소비자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리적표시제도가 본래 목적한 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대국민 홍보(39.1%)와 철저한 사후관리(26.1%)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리적표시제가 제대로 작동할 경우 전체 응답자 중 70%가 추가적으로 비용을 지불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경환 연구위원은 향후 지리적표시보호제도가 실효성 있는 제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행 지리적표시 등록 품목의 재정비, 향후 지리적표시 등록대상 선정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리적표시 등록품에 대한 철저한 품질관리 및 사후관리 지원, 지리적 표시에 대한 생산자 교육 및 소비자 홍보 강화, 지리적표시제도와 지역특화산업 육성 관련 정책의 연계 강화, 유사목적의 지리적표시제도와 지리적표시단체표장제도 재정비 등도 서둘러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 보기

 

                                                                                               ○ 제공일 : 2012년 3월 7일

                                                                                               ○ 제공자 : 최경환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48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