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FTA 시대, 한·중·일 3국 지속농업 발전 방안 모색
1932
원문

 

KREI, ‘FTA 시대, 한·중·일 3국 지속농업 발전 방안' 모색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월 16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FTA 시대 지역농업 활성화 과제와 전망’이란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개회식에서 이동필 원장은 “글로벌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동북아의 한·중·일 3국은 유럽이나 남북미, 오세아니아에 비하면 영세한 소농구조를 갖고 있고, 농산물 순수입국이며 식량자급률이 떨어지고 지역사회가 약화되고 있다”고 말하며, 이 공통문제에 각국은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며 안정적인 농업경영과 지속적인 농업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당부했다.

 

  첫 발제자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곤 연구위원은 ‘글로벌화 진전과 동북아 농업문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중·일 3국은 도농간 소득격차가 날로 커지고 있고, 자급률이 하락하고 있으며, 지역경제도 쇠퇴하고 있다”고 말하며, “FTA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농업이 친환경, 생물다양성, 다원적 기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농업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에 부존하는 자원을 발굴하여 지역특성을 살린 활동이나 사업을 전개하여 농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중국 인민대학교 진홍윤 교수는 ‘중국의 농업문제 양상과 소득정책 동향’이라는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의 도농간 소득격차는 2011년 3.13:1으로 격차가 커지는 현상이 정지·완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농가의 소득증대정책의 일환으로 농촌세금비용 개혁을 통해 농민부담 경감을 추진하고 있고, 농업자산에 대한 투자, 토지재개간, 발전수리기조시설의 운영 등으로 농업생산력을 제고하였다”고 발표했다. 또한 “최저수매가정책과 임시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토야마대학 사카이 토미오 교수는 ‘글로벌화에 대응한 일본의 농정개혁과 마을 영농’이란 제목으로 발표했다. “마을 영농은 효율적인 농지와 물이용으로 생산비를 낮추고 마을 활성화를 꾀하며, 마을에 있는 다양한 인재를 활용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분배 파이가 작아지고 조직의 구심력이 저하되며 10년이 지나면 구성원 가족의 취업 상황이 변화하고 비배 관리에도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마을 영농의 경영 강화를 위해서는 마을의 인재와 농지를 맵핑하여 마을영농 10년 달력을 작성하고 마을 영농의 거버넌스를 구성·운영해야 하며, 경영이념을 정립하고 경영능력이 높은 경영자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3국의 지역사례 발표가 있었다. 먼저 지역재단 유정규 이사가 ‘한국의 농가 조직화와 소득증대 활동’이란 제목으로 발표했다. 유 이사는 농민주도형 예천 지보참우영농조합법인의 성공요인으로 공동 우사를 통한 축산경영 협업, 농가부채를 줄이고 생산비 절감을 위한 농기계공동이용 조직과 효도못자리 작업, 생산비 절감 및 고급육 생산을 위한 생산협동과 생균작목반 운영, 유통 및 소비의 조직화, 예천군 인근 지역 시장 창출, 지역사회의 관심과 기여 등을 꼽았다. 그리고 농민단체와 농촌주도형 사례로 순창 창류계약재배 산업단, 지자체 주도형 사업으로 문경 오미자산업 사례를 소개했다.

 

  중국농업대학 주진펑 교수는 ‘중국의 농업산업화 경영 사례’ 발표에서 규모화 경영을 통해 농가 소득 증가를 실현하고 있는 흑룡강농간구를 소개하며 60년에 걸친 노력으로 농지작업의 기계화율이 94%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생산구조정을 통해 농민들의 소득증대를 실현하는 북경 진푸예농채소재배원, 조직화를 통해 농민의 소득증대를 실현하는 하북성 하간시 궈신농촌기술복무총회, 농업산업화를 통해 농민의 소득증대를 실현하는 광동성 온씨그룹을 소개했다.

 

  일본 효고현정 니시무라 이츠키 농업전문원은 ‘일본 효고현이 환경창조형농업 추진과 성과’라는 제목의 발표에서 효고현이 추진하고 있는 황새육성농법을 모델사례로 소개했다. 효고현은 1992년 환경창조형농업의 추진을 현의 주요 시책으로 삼아 1993년에 유기농산물인증제도를 창설했고, 2001년에는 ‘효고안심브랜드 인정제도’를 만들었다. 2002년부터는 황새야생복귀사업을 지탱하고자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황새농법’의 확립보급에 착수해 2006년 환경창조형농업 추진사업을 개시했다. 이츠키 농업전문원은 황새육성농법 사업을 추진하며 “어떤 지역에도 반드시 지역을 구하는 지역자원이 있다”고 강조하며, ‘지역자원을 찾아내어 연마하기’를 계속할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여 그 작업을 할 수 있는가가 열쇠가 된다고 말했다.

 

  이날 종합토론은 서울대 이태호 교수 사회로 열려, 농림수산식품부 김윤종 농가소득안정추진단장, 한국농수산대학 김종숙 교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손재범 총장, 전북발전연구원 이민수 연구위원, 농협경제연구소 전찬익 농업정책실장이 토론을 했다.

 

 

  * 국제심포지엄 관련사진 바로가기

  

 

                                                                                               ○ 제공일 : 2012년 2월 16일

                                                                                               ○ 제공자 : 성과확산팀 조태희팀장

                                                                                               ○ 전   화 : 02 - 3299 - 4226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