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KREI-RCRE 세미나, 한·중 무역과 농업 현황 폭넓게 이해
1817
원문

KREI-RCRE 세미나, 한·중 무역과 농업 현황 폭넓게 이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중국농업부 농촌경제연구중심(RCRE)과 공동으로 5월 17일 대회의실에서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 무역 및 농업 발전 현황과 전망’이란 주제로 제2회 개최했다. 개회식에서 KREI 오세익 원장은 이번 세미나가 한․중 FTA 협상개시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국의 농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유익한 시간이 되고 양기관간의 상호 협력과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길 당부했다. 중국 RCRE 쏭 홍위엔 주임은 중국 농업현대화 실현을 위해 한국의 경험을 배우고 양 기관의 학술적, 인적 교류 확대를 희망했다.

 

이어 첫 발제자인 RCRE 왕리 박사는 ‘중국 농산물 무역의 발전현황 분석’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토지집약형 제품이 견인하는 수입의 빠른 성장이 중국 농산물 무역의 최대 특징이자 추세이며, 한․중 농산물 무역은 산업간 무역위주이며 비교적 강한 상호 보완성을 가지는 것이라고 발표했다. KREI 문한필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농산물 교역 현황과 전망’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은 원료 및 기초 농산물, 노동 및 토지집약형 농산물을 수출하고 한국은 가공식품, 자본집약형 농식품 수출하여 산업내 무역, 분업가능성을 제시했다.

 

RCRE 쟝 자오신 박사는 ‘농업산업화 경영의 발전 현황, 도전 및 “12.5”의 발전맥락’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의 현 농업 산업화 정책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12차 5개년 계획의 선도기업과 농업산업화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했다. KREI 이용선 박사는 ‘농산물 가공산업의 현황과 구조’란 제목의 발표에서 “농산물 가공산업 발전을 위해 투자 펀드 조성 및 신용보증체계 보완 등을 통한 금융애로 해결, 판매 활성화, 연구개발(R&D)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KREI 권태진 부원장이 주재한 종합토론에서는 농산물 가격안정화 방안, 중국 농업산업화와 선도기업, 2008년 금융위기 시 중국정책의 임시개입정책, 한․중 농산물 무역관계에 있어서 상호보완성 또는 경쟁성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토론이 있었다.

 

 

  * 관련사진보기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