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올해 농가소득 작년보다 0.9% 증가한 3,420만원 전망
2202
원문

올해 농가소득 작년보다 0.9% 증가한 3,420만원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업전망 2011』보고서 통해 발표

 

■ 2011년 호당 농가소득은 3,420만원으로 전년보다 0.9% 증가할 전망이다.

 ○ 농외소득은 전년보다 6.8% 증가한 1,403만원, 이전수입(이전소득과 비경상소득 포함)은 1.7% 증가한 951만원으로 전망된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은 2월 22일(화)에 개최할 예정이었던 「농업전망 2011」대회를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우려로 취소하고, 관련 정보를 2월 22일 홈페이지(www.krei.re.kr)를 통해 발표했다.

 

■ 2011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2.9% 증가한 44조 9,88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1% 증가, 축산업의 경우는 2.6%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 쌀 생산액은 생산량 및 가격 회복으로 전년대비 5.9% 증가한 7조 5,420억 원으로 전망된다. 채소류의 경우 봄배추, 양배추, 양파 등은 증가하고 무, 당근, 마늘, 고추 등은 감소하여 전년대비 2.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육우와 육계의 경우 생산 증가로 전년대비 각각 9.7%, 2.5% 증가할 전망이며, 낙농업의 경우 전년보다 11.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1년 농업부문 부가가치(부대서비스 제외)는 전반적인 중간재 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3.4% 감소한 21조 5,650억 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부가가치는 전년대비 0.3% 증가한 19조 3,720억 원이며, 축산업은 27.2% 감소한 2조 1,930억 원으로 예상된다.

 ○ 중장기적으로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재배업 부가가치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축산업 부가가치는 2016년 이후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경지면적은 170만 1천ha, 농작물 재배면적은 180만 1천ha, 경지이용율은 109%로 전망된다.

 ○ 2011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4.2% 감소한 85만 5천ha로 추정된다.

 ○ 채소류는 마늘, 쪽파, 대파, 배추 등의 면적 증가로 전년보다 3.0% 증가할 전망이다. 과실류는 사과와 복숭아의 면적은 증가하나, 배, 감귤, 단감 등의 면적은 감소하여 2.9% 감소할 전망이다.

 

■ 2011양곡년도 연평균 쌀 가격은 14만 4천원(80kg)으로 전망된다.

 ○ 2011양곡년도 평균 쌀 가격은 전년보다 5.5% 상승한 14만 4천원/80kg 내외가 될 전망이다.

 ○ 2011년산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85만 5천ha로 전망된다. 평년단수를 적용한 쌀 생산량은 426만 8천 톤, 자급률은 94.9%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 2011년 한우 수소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크게 하락한 600kg당 450~470만 원으로 전망되며, 돼지고기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크게 상승한 kg당 6,100원으로 전망된다.

 ○ 2011년 한육우 사육두수는 연말두수 기준 전년 대비 1% 증가한 295만 마리로 전망되며, 2010년을 정점으로 한우가격은 하락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돼지 사육두수는 구제역으로 인한 매몰물량을 감안하여 연평균 720~730만 마리로 전망된다. 양돈업이 구제역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 지육가격은 구제역 매몰 처분에 따른 공급량 감소로 작년 대비 크게 상승한 kg당 6,100원으로 전망된다.

 ○ 육계 사육수수는 작년 보다 8.8% 증가한 연평균 8,800만 마리로 전망된다. 생산량 증가에 따라 산지가격은 작년 대비 2.1% 하락한 생체 kg당 1,870원으로 추정된다.

 
 * 주요 총량지표 전망  한글자료 첨부

 * 농업전망 관련자료는 11시 이후에 홈페이지에 게시 예정

    www.krei.re.kr      http://aglook.krei.re.kr

 

                                                                                               ○ 제공일 : 2011년 2월  22일

                                                                                               ○ 제공자 : 한재환 부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52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