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도시민 2명중 1명 우리농업 발전가능성 크다
2214
원문

도시민 2명중 1명 "우리농업 발전가능성 크다"…4년전比 17.6%p 증가


- ‘국제경쟁력 있다’ 47.6% 등 긍정 인식 4년째 상승불구 농업투자 축소 주장도 30%로 늘어

    
    - 2011년 가장 중점 추진해야할 농정으로 농업인과 전문가는 ‘농가 소득안정’, ‘유통개혁’ 꼽아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연구수요 발굴과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한 ‘농업‧농촌에 대한 2010년 국민의식조사’에서 국민들의 농업‧농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도시민들의 농업‧농촌문제와 정책 관심도가 낮아 소비자로서 농업‧농촌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0년 10월 중순부터 한달간 조사를 실시해 도시민 1,500명, 농업인 816명, 전문가 64명의 유효 조사표 2,380건을 분석한 결과, 도시민들의 ‘우리농업 발전가능성 크다’는 응답은 4년 전에 비해 17.6%p 증가한 53.4%, ‘국제경쟁력이 있다’는 응답은 12.4%p 증가한 47.6%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었다. 


○ 농산물시장 확대 개방시 농산물 구입 방식에 대해서도, 도시민들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우리 농산물을 구입할 것이다’는 의견이 45.1%로 2006년 본 조사결과(36.0%)보다 9.1%p 증가하였다. 


○ 하지만, 농업투자 축소에 동의하는 비율이 2007년 16.0%→2010년 30.0%로 두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도시민 중 40.0%만 ‘농업‧농촌 문제가 나와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10명중 3명(30.7%)만 농업정책과 농업‧농촌에 관심 있다고 응답하였다.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인정한다는 도시민이 55.9%로 최근 3년째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민들의 귀농귀촌 의향도 47.7%로 답보 내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원인분석이 필요하며, 귀농귀촌 시 가장 필요한 요소로 꼽고 있는 경제적 기반마련에 대한 성공사례 전파 등을 통해 귀농귀촌을 촉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 2010년 주요 농정현안 해결 노력에 대해 농업인과 전문가는 ‘한식세계화 등 식품산업 육성’, ‘농식품 수출확대’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쌀 재고문제’, ‘농산물 수급’, ‘협동조합 개혁’ 분야는 성과가 낮다고 평가했다. 2011년 가장 중점 추진해야할 농업정책으로 농업인과 전문가는 ‘소득안정’, ‘유통개혁’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 도시민은 가장 관심있는 농업정책으로 ‘안전한 식품 공급’과 ‘농산물 가격’을 꼽았으며, 지난 1년간 농촌관광을 1회 이상 경험했다는 응답자는 21.7%로 이중 53.2%가 농촌관광에 만족했다고 응답하였다. 불만족 요인으로 ‘숙박과 취사 불편’(28.3%)을 꼽았다.



○ 도시민들은 국산 농축산물 중 ‘한우’ 경쟁력을(78.9%)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고, 다음으로 ‘쌀’(75.8%), ‘돼지고기’(68.0%), ‘과일’(61.6%) 순이었다. 식품 구매시 채소는 ‘안전성’, 육류와 곡물은  ‘원산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응답하였다.


○ 농업인들은 농가의 경영위협 요인으로 ‘생산비 증가’(28.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농사만족도는 지난해보다 14.8%p나 낮아진 14.3%를 기록해 경영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시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올해 이상기후로 직접적인 피해를 봤다는 농가가 91.0%로 이중 30.3%는 ‘큰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지도’, ‘농작물 재해보험 등 사후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요구되었다. 


○ 고령화된 농촌지역에서 아무런 노후준비도 없다는 농업인이 18.6%로 조사되었고, 노후대책을 하고 있는 농업인도 충분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7.7%에 그쳐 노후준비에 대한 교육과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농업인의 직업만족도는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 34.0%로 나타났으며, 만족 요인은 ‘정년없이 일할 수 있다’(48.0%), ‘좋은 자연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23.0%) 등으로 조사되는 등 희망적인 요소도 발견되었다.

 

별첨:  ‘농업‧농촌에 대한 2010년 국민의식 조사결과’ 요지

       
          
농정연구속보 67권 ‘농업‧농촌에 대한 2010년 국민의식 조사결과’

 

                                                                                               ○ 제공일 : 2010년 12월  28일

                                                                                               ○ 제공자 : 김동원 부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227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