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돌아오는 농촌, 농촌학교 살리는 데 있다
3084
원문

 

“돌아오는 농촌, 농촌학교 살리는 데 있다”

 

‘농촌 학교 활성화 실태와 시사점’ 연구 통해 밝혀

  

 

폐교위기까지 갔던 소규모 농촌 지역의 학교가 활성화되어 돌아오는 농촌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최경환 연구위원 등이 ‘농촌학교 활성화 실태와 시사점’ 연구에서 밝혔다.


  전북 완주군 이성초등학교는 2007년 학생 수가 25명에 불과해 폐교 위기에 놓여 있던 학교인데 2009년 125명으로 늘어나 지역사회가 활력을 찾고 있다. 이는 학교장이 동문회를 부활시켜 학교 살리기에 동문이 나서게 하고, 주 5일제 수업을 통한 다양한 특기적성 교육과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등을 통해 ‘찾아오는 학교’를 만들어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었기 때문이다. 강원도 평창군 면온초등학교는 2005년 21명의 학생만 남아 폐교 직전이었지만 2006년부터 교장이 학교 살리기에 나서서 2009년 현재 157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학부모가 교사로 참여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업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경기 광주시 남한산초등학교도 2000년 폐교가 결정된 학교였는데 신임 교장이 부임하여 지역사회유지·시민단체와 힘을 모아 학교 활성화에 힘을 모아 2009년 현재 151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적극적인 학부모의 참여의식이 학교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도 큰 몫을 했다.


  농촌의 소규모 학교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학교를 분석한 결과, 활성화된 많은 학교가 도시 학생을 유치하기에 유리한 도시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그 외에도 학교 혁신을 주도한 교장의 리더십, 리더십을 따라주는 열정 있는 교사, 학교 구성원이 만들어낸 농촌형 프로그램, 지역주민의 활발한 학교 운영 참여에 요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학교 활성화가 과거에는 지역사회운동 차원에서 특정 지역의 특정 학교 중심으로 추진되던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생이 돌아오는 이러한 농촌 학교의 성공모델을 좀 더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9년에 ‘전원학교’라는 이름으로 전국에서 110개 농촌 학교를 선정하여 집중지원하기 시작함에 따라 앞으로 농촌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농촌 학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경환 연구위원은 “이촌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자녀교육에 있다”고 말하며, “농촌 학교 살리기 운동이 침체된 농촌 지역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어 이 운동이 더욱 확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농촌지역사회와 농촌학교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 관련자료*

 

                                                                                                      

                                                                                               ○ 제공일 : 2010년  3월  25일

                                                                                               ○ 제공자 : 최경환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48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