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올해 농가소득 작년보다 5% 증가한 3,140만원 전망”
3036
원문

 

 “올해 농가소득 작년보다 5% 증가한 3,140만원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개최한 『농업전망 2010』대회에서 발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吳世翼)은 2010년 1월 21일(목) 잠실롯데호텔에서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등 농업계인사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전망 2010』대회를 개최했다.

 

□ 2010년 농가소득은 3,140만원으로 작년보다 4.8% 증가, 농업생산액은 작년보다 0.8% 증가한 39조 3,220억원으로 전망된다.

 

 ○ 호당 농업소득은 작년 대비 1.3% 증가한 970만원, 농외소득은 6.2% 증가한 1,156만원, 이전수입(직불금 포함)은 0.5% 증가한 899만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생산액은 작년 대비 2.5% 감소, 축산업은 작년 대비 6.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생산액의 감소는 벼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금년도 쌀 단수가 대풍작을 기록한 작년 수량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축산업 생산액 증가는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이력추적제, 한우전문식당 증가 등에 따른 한우 수요 및 생산량 증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 2010년 농업부문 부가가치(부대 서비스업 제외)는 작년과 비슷한 19조 4,550억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부가가치는 중간투입재비가 증가하여 작년보다 1.7% 감소하고, 축산업은 5.1% 증가할 전망이다.

 

□ 2010양곡연도(‘09.11.1~’10.10.31) 평균 쌀 산지가격은 80kg당 작년 수확기 평균가격(14만 2천원) 보다 높은 14만 3천원~14만8천원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 2010년 쌀 생산량은 464∼488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올해 수확기 쌀 산지가격은 14만 3천원∼15만 1천원(80kg)으로 전망된다.


 □ 2010년 한우 수소(♂) 산지가격은 2월 중순을 정점으로 완만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작년 하반기 이후 가격상승에 영향으로 연평균 산지가격은 작년보다 17.4% 높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 2010년 한육우 사육두수는 작년 대비 6% 증가한 280만 마리, 한우 수소 산지 평균가격은 작년보다 상승한 600kg당 520만 원으로 전망된다. 


 ○ 돼지 사육두수는 작년 모돈 수 증가로 작년 대비 2.6% 증가한 954만 마리로 전망된다. 생산량 증가에 따라 지육가격은 작년 대비 3.5% 하락한 kg당 4,315원으로 전망된다. 


 ○ 육계 사육수수는 작년 가격 상승에 따른 종계수수 증가로 작년 대비5% 증가한 7,686만 마리로 전망된다. 생산량 증가에 따라 산지가격은 작년 대비 9.6% 하락한 생체 kg당 1,748원으로 전망된다. 

 

□ 2010년 경지면적은 177만 2천ha, 농작물 재배면적은 188만 1천ha, 경지이용률은 104%로 전망된다.


 ○ 벼 재배면적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이며, 2010년은 작년보다 1.1% 감소한 91만 5천ha로 전망된다.

 
 ○ 엽근채소는 배추, 당근, 감자 등 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 증가, 양념채소 면적는 고추, 마늘, 쪽파 등 면적 감소로 작년보다 1% 감소할 전망이나,마늘은 양파로의 대체 등으로 9% 감소할 전망이다.

 
 ○ 시설채소 중 수박면적은 3%, 오이는 2% 감소하고, 참외, 토마토, 호박 면적은 작년과 비슷할 전망이다.


 ○ 과일 재배면적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되며, 환율 하락으로 작년보다 수입과일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0년 경지이용률은 답리작 사료작물의 지속적인 증가로 11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첨부: 주요 총량지표 전망(KREI 농업부문 전망 모형) 결과 1부


 * 농업전망 발표자료 *

 □ 2010년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김정호 

 

 □ 쌀 수급 동향과 전망-최익창

 

 □ 콩 수급동향과 전망 -승준호 

 

 □ 축산물 수급 동향과 전망 -허덕, 김원태 

 

 □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천인석

 

 □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정은미

 

 □ 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김재환 

 

 □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 윤종열

 

 

 

  

                                                                                                      

                                                                                               ○ 제공일 : 2010년  1월  20일

                                                                                               ○ 제공자 : 김배성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217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