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기온 1℃ 상승 시 농지가격 5.7~7.5% 하락”
2979
원문

 

  “기온 1℃ 상승 시 농지가격 5.7~7.5% 하락”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 연구 통해 밝혀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농작물에 미치는 기상요소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재배적지가 이동하며, 새로운 병해충이 발생함에 따라 작목전환과 농작물 피해 확산이 예상된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 연구위원 등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 연구에서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기온상승으로 사과, 복숭아, 열대작물의 재배적지가 북상하고, 기상재해 등 기상요소의 영향 증가, 병해충 발생의 증가로 농작물 생산성의 감소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공동연구결과 지구온난화로 평균기온이 2℃ 상승할 경우 10a당 벼 수량은 4.5% 감소, 3℃ 상승 시 8.2% 감소, 5℃ 상승 시 14.9% 감소(전남 19.3%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온상승은 전반적으로 농가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연평균 기온이 1℃ 상승하면 기후변화 적응 등으로 농지가격(생산자 잉여 대표치)이 5.7~7.5%(1,455~1,924만원/ha)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기후변화 대응책에 대하여 농업인들의 관심이 높고, 향후 농가단위 적응방안에 대한 참여의사도 높으나 적응대책에 대한 기술과 지식 부족, 정보 부족, 노동력 부족 등의 장애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수단 적용 유무에 따른 기대수익의 차이를 추정한 결과, 광주 79만원, 밀양 120만원, 전주 140만원 정도의 차이가 나며, 약 65%의 농민이 적응수단을 적용할 것으로 예측되어 적절한 기술에 대한 수용력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로드맵은 기반구축(2009~2013년), 도약(2014~2019년), 정착(2020~2030년) 3단계 접근방안으로 제시했다. 기후변화 적응수단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결과, 단기와 중장기 모두 1위 품종개발, 2위 농업용수관리, 3위 생산기술개발 등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경제적 수단, 법·제도 정비, 인력양성 및 교육, 모니터링, 농가적용 기술·경영 등을 핵심과제로 제시하였다.

 

                                                                                                      

                                                                                                        ○ 제공일 : 2009년  12월  23일

                                                                                                        ○ 제공자 : 김창길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265

                                                                                                        ○ 홈페이지 : www.krei.re.kr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