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외국여성, "다섯 명 중 한 명 가족의 경제적 지원 위해 국제결혼"
3886
원문

 

 외국여성, "다섯 명 중 한 명 가족의 경제적 지원 위해 국제결혼"

'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 연구 통해 밝혀

  

 

□ 2008년 5월 기준, 추계한 농촌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 수 28,240명

 

○ 행정안전부에서 2008년 5월에 실시한 '지자체별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도농복합시의 농촌(읍·면부)인구 비율을 35% 정도로 추정하여 계산한 결과 농촌거주 여성 결혼이민자 28,240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07년에 결혼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한국 남자(7,930명) 중 40%인 3,172명이 국제결혼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남자와 결혼한 외국 여자의 국적별 혼인 건수는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순이다.

 

□ 전국 43개 시·군 농촌지역 400가구의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 20가구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

 

○ 여성 결혼이민자가 국제결혼을 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으로 발전한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32.3%)', '남편을 사랑해서(24.0%)', '본국 가족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해서(21.5%)' 등이다.

○ 결혼이민자의 남편이 국제결혼을 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혼기를 놓치고 결혼이 어려워져서(54.0%)', '농촌으로 시집 오려는 한국여성이 별로 없어서(25.3%)' 등이다.

 

□ 농촌 다문화가정의 가구소득 대체로 낮음

 

○ 농촌 다문화가정의 절반 이상(53.6%)이 연간 가구소득이 '2,0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도의 전국 농가의 평균소득이 31,976천원임을 감안해보면 농촌 다문화가정의 대부분(94.9%)이 우리나라 농가의 평균소득에 못 미치는 소득을 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여성 결혼이민자의 78.8%가 현재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본국 생활과 한국생활을 상대적으로 비교했기 때문이다.

○ 농촌 다문화가정의 3/4 이상(78.8%)이 농지(논·밭) 소유면적이 2ha 이하이고, 평균 농지 소유면적도 4,838평(1.6ha)에 불과해 영농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농가의 결혼이민자들 중에서 43.1%가 '농사일을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이것은 입국 초기이거나 자녀 출산시기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이민자는 사회서비스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육장까지 교통편 제공', '좀 더 실생활에 필요한 교육 내용' 순으로 꼽음

 

 

<사회서비스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 농촌·농촌의 특수성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다문화주의적 시각에서 농촌의 다문화가정을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요소가 많음

 

○ 농촌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는 △다문화가정 관련법의 개선, △농촌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이버 지원체계 구축, △혼인 당사자들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사전 교육 실시, △농촌 다문화가정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및 결혼이민자 모국어교육 강화, △다문화가정 대상 영농교육의 개선, △영농기반 구축 및 다문화 후계세대 육성, △농업 관련 산업 및 비농업 경제활동 지원, △사회보장에서의 차별 해소 및 사회서비스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 박대식 연구위원은 “결혼이민자들은 우리나라 농촌의 새로운 인적 자산이므로 결혼이민자들을 우리의 동료 및 이웃으로 따뜻하게 받아들여서 더불어 살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그들의 다양한 문화적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농촌의 다문화가정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경제활동이나 사회서비스 수혜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관련 정책은 결혼이민자 및 남편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는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보고서 : 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

 

                                                                                                      

                                                                                                        ○ 제공일 : 2009년 3월  17일

                                                                                                        ○ 제공자 : 박대식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45

                                                                                                        ○ 홈페이지 : www.krei.re.kr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