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쌀 관세화 빠르면 빠를수록 국익에 유리
3842
원문

 

 "쌀 관세화 빠르면 빠를수록 국익에 유리"

'쌀 관세화 유예, 아직도 유익한 수단인가?' 정책토론회서 밝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동규 선임연구위원은 2월 24일 '쌀 관세화 유예, 아직도 유익한 수단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쌀 관세화 전환이 국익에 부합함으로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 관세화유예 조치는 이미 유익하지 않은 수단

 

○ 도하개발어젠다(DDA)농업협상이 지연되고 있으며, 타결되어도 쌀관세화에 따른 위협 요인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 쌀이 개도국 특별품목 대우를 받으면 관세감축과 저율관세수입물량(TRQ)증량이 없을 전망.

  - 선진국 민감품목으로 분류되면 관세가 46.7% 감축하지만 TRQ는 3.5%만 증량.

 

○ 중립종 국제 쌀 가격이 톤당 400달러 이하(현재 톤당 1,102달러)로 낮아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므로 관세화 조치가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

 

 

□ 관세화 전환이 국익에 부합, 빠를수록 유리

 

○ 2010년에 관세화로 전환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0년 동안 2,076억∼4,052억원의 수입쌀 도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관세화로 전환하면 수입쌀 공급량이 줄어들므로 쌀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 압력도 다소 완화할 수 있음.  

○ 관세화 전환 시기를 2010년에서 2011년으로 연기하면 994억~1,873억원 이상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므로 관세화 전환은 빠를수록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TRQ 쌀이 가공용 등으로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관세화 전환으로 인한 재정부담은 더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가공용으로 80kg당 4만원 수준에서 공급되고 있음

 

 

< 10년간 누적 쌀 수입액(2010~2019년) >

 

 

< 관세화 전환 1년 지연에 따른 비용 >

                                                                                                                             단위: 억원

관세화 시점

2010년

(2010∼2019년, A)

2011년

(2011~2020년, B)

B-A

선진국

21,633

23,506

1,873

개도국

15,264

16,258

994

 

 

▶ 관련자료 : 쌀 관세화유예, 아직도 유익한 수단인가?

 

                                                                                                      

                                                                                                        ○ 제공일 : 2009년 2월 24일

                                                                                                        ○ 제공자 : 박동규 선임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14

                                                                                                        ○ 홈페이지 : www.krei.re.kr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