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청소년 50%만 매일 아침식사, 일·중에 비해 식습관 불건전 심각
3787
원문

 

  청소년 50%만 매일 아침식사, 일·중에 비해 식습관 불건전 심각

'한중일 청소년의 식품소비 비교 분석' 연구 통해 밝혀

 

 

 □ 한국 청소년들 식습관 불건전한 것으로 나타나

 

○ 우리나라 청소년이 아침 결식률 높고 저녁 식사시간이 불규칙해 일본과 중국 청소년에 비해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청소년 중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은 50%에 불과해 일본(82%)이나 중국(72%)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저녁식사 시간은 일본과 중국이 대체로 규칙적인 반면, 우리나라 청소년은 63.4%가 불규칙하게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사도 편의점(29.0%)이나 길거리 트럭·포장마차(13.0%)에서 대충 해결하는 비중이 42%이었다.

 

□ 한·중·일 청소년 돼지고기·가공식품·외식소비 증가, 영양소 부족상태

 

○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품소비는 쌀 소비가 가장 빠르게 감소한 반면 빵과 과자류, 돼지고기, 외식 소비가 타 연령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2000년대 이후 20∼30대 연령층의 쌀 소비 증가와 함께 청소년층의 쌀 소비감소추세도 둔화되고 있으며, 과일과 채소는 감소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중국은 20∼30대 계층의 식품소비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였으며, 청소년층의 식품소비는 2002년 대비 2007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중국 청소년의 식품 소비량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다.

○ 우리나라 청소년은 전반적으로 많은 영양소의 권장량 대비 영양소 섭취수준이 낮으며 에너지, 칼슘, 철, 칼륨, 비타민A, 리보플라빈, 비타민C는 권장량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본 청소년은 한국과 중국에 비해 양호하며 칼로리와 칼슘 등 일부 영양소만 부족한 상태로 드러났다. 중국 청소년은 대부분 영양소 섭취량이 부족하며, 특히 칼슘 섭취수준은 권장량의 34%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 청소년이 건강하고 합리적인 소비계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식품정책 추진 필요

 

○ 우리나라의 청소년 식품 정책은 유해한 영양성분의 저감·식품 위생관리·학교급식 개선이 주요 내용이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반면,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식생활 관련 정책이 청소년 식품정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 향후 청소년의 불규칙한 식생활을 개선하고 영양불균형에 대처하여 건강한 식생활 습관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정부, 지역 등이 참여하는 범국민운동차원에서 식생활 교육 추진이 필요하다. 가정 내 식습관 확립을 위해서는 식문화 및 식생활 관련 정보제공과 교육, 매스컴을 통한 식문화와 바른 식생활 홍보 등이 필요하다. 학교 교과시간의 식생활 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생활을 반영하고 자립적인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현실적인 교육, 다양한 체험활동 등을 통한 실제적인 식생활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은 체험을 통한 교육의 장으로서 올바른 식습관뿐만 아니라 식문화 체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교급식에서 한국형 식생활에 대한 선호도를 유지·확대하기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청소년층이 건강하고 합리적인 소비계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식품소비 및 영양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연구보고서 보기 : 한·중·일 청소년의 식품소비 비교분석

 

                                                                                                      

                                                                                                        ○ 제공일 : 2009년  2월  16일

                                                                                                        ○ 제공자 : 이계임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326

                                                                                                        ○ 홈페이지 : www.krei.re.kr

 

작성자 홍보출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