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2018년도 새롭게 떠오르는 5가지 식물기반 유제품 대체음료
1432
 
원문작성일: 2017.11.23.
원문작성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시장조사회사 Packaged Facts(PF)에 따르면 2018년에는 보리, 대마, 퀴노아 등으로 만든 식물기반 대체음료가 급증할 것으로 보임.

유제품 및 낙농제품 대체음료 시장이 2021년까지 2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 중 40%는 식물기반 유제품 대체음료가 차지할 것이라고 조사됨.

지난 몇 년 동안 전형적으로 코코넛우유, 아몬드우유 및 콩우유 등 견과류 및 콩을 기반으로 한 우유대체품이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음. 새롭게 개발되는 식물기반 유제품은 2018년에 더 많은 소비자가 찾을 것으로 예상됨.

다음은 2018년에 주목할 만한 5가지 식물기반 유제품 대체음료임.
(1) 보리 우유 (Barley milk): 섬유질, 셀레늄, 비타민B, 구리, 크롬, , 마그네슘, 니아신 등 중요 비타민과 미네랄 제공
(2) 아마유 우유 (Flax milk): 오메가-3지방산이 풍부하며,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항산화 제질 함유
(3) 대마 우유 (Hemp milk):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단백질 및 필수아미노산 풍부
(4) 완두콩 우유 (Pea milk): 칼슘, , 구리, 아연 및 망간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며, 혈액응고를 위한 비타민 K, 티아민, 비타민 A 함유
(5) 퀴노아 우유 (Quinoa milk): 단백질, 섬유소, 비타민 및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마그네슘, , 구리, 망간, 아연 및 인과 같은 미네랄 함유

 
PF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시장 변화는 식물기반 식품이 동물성 식품보다 건강하다는 소비자 인식 변화에 기인한다고 함. 또한 동물복지에 대한 우려로 동물기반 제품보다 식물기반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음.

전반적인 낙농제품 대안시장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식물 기반 원료를 이용한 유제품 대체 음료 및 기타 식품들이 계속 개발될 것으로 전망됨.

자료: Food Business New(2017.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