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중국, 스마트농업에 대한 관심 증가
2339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작성일: 2016.11.17.

 

중국 정부는 도농 격차 해소 및 낙후지역의 개발, 도시 노동력 확보를 위해 현재 51%인 도시화율을 20년 내 선진국 수준인 6-70%로 높이고자 함. 이에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 및 농촌 노동력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임.

 

20162, 중국 언론사 봉황망(凤凰网)의 설문조사에서 중서부 7개성 6,548호의 농가 가운데 40%가 도시로 떠나겠다고 응답하였음. 농촌에 남겠다고 답한 농가의 60%45세 이상이었으며 도시로 떠나겠다는 농가의 71.23%45세 이하였음.

 

중국 국민의 소득이 높아지며 웰빙(Well-bing), 친환경,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중국 유기농 시장 연 매출액 300억 원 수준(세계 4위 유기농 식품 소비국).

중국 중산층 인구는 현재 15,000만 명에서 10년 내 4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농경지 감소, 농촌 고령화 등 중국 전통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농업을 규모화, 직접화, 생산효율화, 산업화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농업이 주목받고 있음.

 

스마트농업은 특히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농업 생산물의 품질과 생산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어, 최근 농업 노동 인구 및 농지 감소 등의 현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임. 중국에서는 스마트농업이 智慧农业(지혜농업)이라는 용어로 사용됨.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 2025’ 정책을 통해 첨단 농기구 및 핵심 부품 개발에 집중할 것을 발표하였음. 또한 20161020일 중국 국무원은 <전국 농업 현대화 계획(2016-20)(全国农业现代化规划(2016-2020)>을 발표하며 농업 현대화의 일환으로 스마트농업을 언급하였음. 구체적인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음.

 

기술 장비와 정보화 수준 제고: 중국 정부는 농민의 모바일 및 인터넷 활용률을 높여 모든 농가가 최신 농업 기술에 쉽게 접근하도록 장려함. 또한, 세계 농업 데이터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 주요 농산품의 수요공급 정보를 정기적으로 발표할 예정임.

 

사물인터넷 도입 및 스마트농업 응용시범구역 건설: 정부는 농업, 축산업, 어업 생산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하는 시범 구역을 건설할 계획임.

중국의 13.5규획 요강에는 농업 및 정보기술의 융합 강화, 스마트농업 발전, 농업 생산력 수준 제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중국의 스마트농업은 1980년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른 편임. 중국 스마트농업 산업규모는 20134,000억 위안(5819,668만 달러), 20144,807억 위안(6773,786만 달러)에서 2015년에는 6,000억 위안(8729,500만 달러)을 돌파함.

 

2014년 중국 인터넷 사용자는 66,800만 명이며, 이 중 농촌지역 거주 이용자는 17,800만 명임. 인터넷을 이용해 상품을 구입한 농민은 7,714만 명으로 2013년 대비 40.6% 증가하였음. 인터넷 보급정책의 영향으로 농촌인구의 인터넷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음.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농촌 전자상거래서비스 사이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의 유통 인프라와 모바일 전자상거래가 발전하여 큰 발전 잠재력을 갖고 있음.

 

농업용 무인기는 지능화된 농업기계로서 주로 관개, 비료 및 살충제 분사(살포), 병해충 예방 등에 투입됨. 농업 무인기는 노동력 절약, 높은 작업 효율 등의 장점이 있음. 민간용 무인기가 점차 보급되고 농업 생산의 자동화 수요가 높아져 농업 무인기 시장의 발전은 지속될 것임.

현재 많은 기업이 농업 무인기 부문에 투자하고 있으며 상용 드론 제조업체 다쟝(大疆)도 이미 농업 무인기를 생산하고 있음.

중국에서 가장 보편화된 스마트농업 형태는 사물인터넷과 농업을 결합한 운영모델임. 이 모델은 식물 생장의 온·습도, 토양 성분, 생태 지형 등 각종 환경 디지털 수치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플랫폼에 입력함. 플랫폼은 지능 분석을 통해 작물의 적정 생장 환경을 결정하여 자동조절시스템을 통해 일조량을 조정하고 적정량의 물과 비료를 분사함.

중국의 스마트농업은 발전 초기단계이며 특히 자료수집 및 분석기술에서 선진국에 비해 뒤쳐짐. 스마트 농업의 발전은 과학기술 수준에 달려있기 때문에 기술을 보유한 인재 육성에 집중해야 함.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