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베트남, 농기계시장 현황
4391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작성일: 2016.10.21.
 
 
베트남 정부가 고시한 Decision 1342/QD-TTg(이하 Decision 1342)에 따르면 베트남 농기계 시장에서 베트남산 농기계 시장 점유율은 약 20%에 불과하며 나머지 80%는 수입산 제품들이 차지함.
 
베트남의 농기계 주요 수입 국가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임. 외국계 농기계 기업은 현지 대리점 확장 및 판매 지원금(커미션) 제공 등을 통해 베트남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
 
중국산 농기계가 저렴한 가격, 국경 무역의 이점(통관절차 간소, 물류비 절감 등) 등을 활용해 베트남 농기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였음.

국제무역센터(International Trade Center, ITC) 통계를 바탕으로 추정한 중국산 농기계 및 부품의 베트남 시장 점유율은 약 63%. 일부 수입업자들은 제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 완제품이 아닌 부분품을 수입한 후 현지에서 조립해 판매하기도 함.
 
베트남에도 트랙터, 경운기, 트랙터를 비롯한 주요 농기계 제조업체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규모가 작고 생산량이 적어 시장 점유율이 낮으며 전문성도 부족함. 베트남 현지 농기계 기업은 제품 및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신규 투자 여력이 없어 농기계를 필요로 하는 베트남 영농인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함.
 
대표적인 베트남 농기계 제조기업은 베트남 산업무역부 산하의 VEAM(Vietnam Engine and Agriculture Machinery Corp)이며, 국영 기업이라는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내 시장 점유율이 낮음.
 
또한 현지에서 생산되는 농기계는 대부분 저용량 엔진제품이며, 현지 수요가 높은 이앙기 및 수확기는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임. 부품·소재산업의 부재 역시 현지 농기계 제조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 요인임.
 
베트남 정부의 Decision 1342에 따르면, 베트남 농업 부문에서 토양 준비 작업 기계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경작 및 시비 단계는 25%, 수확 및 가공 단계는 30%에 불과했음. 이는 베트남에서 농기계가 아직 보편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냄.
 
베트남의 농업 기계화율은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큼. 3모작을 하는 베트남 남부 메콩델타(Mekong delta) 지역에서 수확용 농기계인 콤바인 사용이 보편적이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농기계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음.
 
베트남 내 농기계 사용이 저조한 주요 원인은 경작 가능 지역이 좁고, 농업 종사자의 소득이 낮기 때문임. 베트남의 농업 종사자는 값비싼 신제품보다는 내구성이 좋은 중고 농기계 구매를 선호하기도 함. 베트남 정부는 농업인의 농기계 구매를 위해 보조금 지원, 대출 이자 할인, 농업 기술 훈련 제공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아직까지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파악됨.
 
2014년 베트남이 수입한 주요 농기계 품목은 수확 및 탈곡용 기기(HS Code 8433), 종자·곡물·건조한 채두류의 세정기·분류기·선별기(8437), 트랙터(8701) 등임.
 
수확 및 탈곡용 기기(HS Code 8433)는 베트남 농기계 수입액 중 약 34%를 차지했으며, 주로 중국(44%)에서 수입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 제품의 비중은 약 1.4%에 불과함(ITC 통계).
 
종자·곡물·건조한 채두류의 세정기·분류기·선별기(8437) 역시 중국산 제품이 전체 수입시장의 약 83%를 차지해 시장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트랙터(8701) 역시 중국 제품 비중(56.6%)이 높았으며, 이어서 한국(19.2%), 일본(9.5%) 순으로 나타남.
 
2016928~102, 베트남 호찌민(Ho Chi Minh)에서 2016 Vietnam Farm & Food Expo가 개최됐음.
 
전시회에 참가한 베트남 농기계 제조업체 Phan Phoi Chinh Hang 관계자에 따르면 베트남 농업 종사자가 농기계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 중 하나는 예비부품 접근성임.
 
또한 현재 중국산 제품들이 베트남에서 많이 유통되고 있지만 베트남 농부의 중국산 농기계 품질에 대한 신뢰도는 낮다고 함.
 
베트남은 전통적인 농업 국가이며 세계적인 쌀 수출 국가임. 베트남 농업은 국가 GDP에서 12.6%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베트남 경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그러나 베트남 농기계 시장에 영세 영농업자가 많아 농기계화 비율이 저조한 수준임.
 
베트남 농업은 단순 노동 및 기후에 의존하는 전통적 방식을 기반으로 발전해왔음. 전통 농업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농기계 사용의 대중화는 필수적임. 베트남 정부는 농업 현대화를 위해 농업 생산량 증대 정책 및 농촌 기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농기계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베트남 농업 종사자들은 농기계 구매 시 구전 마케팅의 영향을 많이 받음. 베트남 농민에게 농기계는 비싼 장비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경험이 있는 지인의 추천에 민감하게 반응함.
 
이외에도 농기계 품질, 예비 부품의 비용과 부품 조달 용이성, A/S 서비스 역시 베트남 농업 종사자이 농기계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베트남 농기계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은 이를 유의해야 함.
 
최근 빈그룹(Vin Group) 등 베트남 대기업을 중심으로 하이테크(hi-tech) 농업 부문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 베트남 대기업은 농경지 확보, 농산물 생산, 가공·유통에 이르기까지 농업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음. 한국 기업이 베트남 대기업과 협력한다면 한국 농기계의 현지 보급을 위한 좋은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