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월간)세계농업정보

주요컨텐츠

세계농업정보 

제4유형
  • 중국 주요 품목별 과일생산 현황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이수행
    등록일
    2001.09.26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중국의
      과일생산량은 사과, 감귤, 배, 바나나, 포도 등에 집중화하는 현이 심해지고 있다. 1978년 이들 5개품목이 총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6.4% 이었는데, 1999년에는 74.1%로 약 7.7%가 상승하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감귤, 바나나, 포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으며, 사과는 다소 감소하였고, 배는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품목별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1999년 감귤, 바나나, 포도의 생산량은 1978년에 비하여 2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사과는 8배, 배는 약 4배가
      증가하였다표 1.
      표 1 중국 품목별 과일
      생산현황
      단위 : 만톤,
      %
      사과
      감귤

      바나나
      포도
      소계
      기타
      합계
      생산량
      1978년
      227.5
      38.3
      151.7
      8.5
      10.4
      436.4
      220.6
      657.0
      1999년
      2080.2
      1078.7
      774.2
      419.4
      270.8
      4623.3
      1614.3
      6237.6
      증가율
      814.4
      2714.5
      410.4
      4834.2
      2503.9
      959.4
      631.8
      849.4
      비율
      1978년
      34.6
      5.8
      23.1
      1.3
      1.6
      66.4
      33.6
      100.0
      1999년
      33.4
      17.3
      12.4
      6.7
      4.3
      74.1
      25.9
      100.0
      자료:중국 통계연감,1992년,
      2000년.
      1. 사과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사과시장은 일반적으로 80년대까지의 판매호조기, 90년대의 가격의 폭락과 폭등이 반목되는 불안정한 시기, 90년대 이후의 지속적인 가격하락으로
      인한 침체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사과재배면적은 개혁개방
      이후부터 1989년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나, 1990년은 농업특산세(農業特産稅)의 영향으로 다소 감소하였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비교적 높은 증가추세를 유지하였는데, 1995년 이후 사과가격이 하락하면서 재배면적은 또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단위당 생산량은
      1984년 이후 점진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냈는데, 1990년 이후 유목이 성목으로 바뀌면서 다소 빠른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총생산량은
      1995년 이전까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가격하락으로 인한 재배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생산량의 증가추세는 현저하게 둔화되었다.
      중국 사과시장이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물론 생산량의 급증이지만, 일부 시대적인 현황 또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개혁개방의 실시와 함께,
      사과가 중국농민의 소득작물로 인식되면서, 당시 중국전역에서 사과재배의 적합성여부와 관계없이 사과재배면적이 급증하였다. 그 결과, 한편으론
      80년대 중반부터 생산량 급증하면서 사과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사과가격의 폭락을 초래하였고, 다른 한편으론 동일한 품종의 지역 간 현격한
      품질격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사과 생산량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지역 간의 사과판매가격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데, 1998년 부사의 예를 들면, 깐수(甘肅)성의 경우 1㎏당 3.6위엔에 판매된 반면,
      일부 지역에선 0.7위엔에 판매되었다. 중국은 90년대 말부터 사과재배지역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있는데, 한편으론 사과재배에 적절치 못한
      지역은 점진적으로 다른 품종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과거 수량위주에서 품질위주의 재배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사과시장의 이러한 배경을 반영하여 80년대를 "수량의 시대", 90년대를 "품질의 시대"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는 곧 중국의 사과산업이
      수량위주에서 품질위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80년대 중국은
      사과재배에 밀식재배기술을 광범위하게 응용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밀식재배(무당 83주에서 111주까지 재배)는 초창기에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으나 나무가 성장하면서 밀식재배의 폐단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적절한 재배방법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1999년 중국의 지역별
      사과재배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의 산똥(山東)이 총생산량의 30.9%를 차지하여 가장 많으며, 그다음 산시(陜西)성 19.2%, 허난(河南)성
      11.7% 등을 차지하고 있다표 2. 중국의 사과 수출물량은 생산량에 비해 그리 많지 않다. 주요수출지역은 러시아와 동남아
      지역이며, 2000년 약 11만톤이 수출되었다.
      표 2 1999년 중국 지역별
      사과생산현황
      단위 : 만톤,
      %
      산동
      협서
      하남
      하북
      산서
      요녕
      기타
      합계
      생산량
      643.3
      399.3
      242.8
      187.1
      174.8
      147.0
      285.9
      2080.2
      비율
      30.9
      19.2
      11.7
      9.0
      8.4
      7.1
      13.7
      100
      자료 : 중국 통계연감,
      2000년.
      2. 배
      중국의 배 생산량은
      1978년 약 152만톤 이었는데, 1999년 774만톤에 달하여 약 4배가 증가하였다. 1978년 배 생산량이 과일 총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23.1% 이었는데 반하여 1999년에는 12.4%로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배
      재배면적은 1984년부터 1990년까지는 점진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냈으며, 1990년에는 재배면적 증가추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며, 1990년부터
      1996년까지는 비교적 빠른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1996년 이후에는 과일가격 하락의 영향을 받아 재배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배의 단위당 생산량은
      개혁개방이후 지속적으로 ㏊당 약 5000㎏을 유지하였는데, 1996년에 6000톤을 초과하였으며, 1997년에는 6939톤에 달함으로써,
      1990년대 말부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과거 중국에서 생산되는
      배는 거의 대부분 한국과는 다른 품종이 이었으나, 1990년대 말부터 한국의 신고배, 원앙배 등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우수품종을 보급하고
      있다.
      표 3 1999년 중국 지역별
      배 생산현황
      단위 : 만톤,
      %
      하북
      산동
      호북
      안휘
      협서
      요녕
      기타
      합계
      생산량
      251.0
      85.8
      54.2
      49.3
      43.2
      42.5
      248.2
      774.2
      비율
      32.4
      11.1
      7.0
      6.4
      5.6
      5.5
      32.0
      100.0
      자료 : 중국 통계연감,
      2000년.
      중국의 배 주산지는 중국
      전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1999년 주요 생산지역을 살펴보면, 허뻬이(河北)성이 총생산량의 32.4%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산똥(山東)성
      11.1%, 후뻬이(湖北)성 7.0% 등을 차지하고 있다표 3.
      2000년 중국의 배
      수출량은 약 65천톤이 수출되었으며, 주로 동남아시아로 수출되었다.
      3. 포도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포도산업은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1978년 중국의 포도생산량은 약 10.4만톤 이었는데 1999년 270.8만톤에 달하였다. 포도의 재배면적은
      1990년대 이전에 비교적 빠른 증가추세를 나타냈으며, 1990년 이후에는 1990년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개혁개방 20년 동안 포도의 재배면적은 약 5배, 총생산량은 약 25배가 증가하였다.
      포도가 중국 과일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1978년 포도 생산량은 과일 총생산량의 1.6%를 차지하였는데 반하여 1999년에는 과일 총생산량의 4.3%를
      차지함으로써, 개혁개방 20년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추세를 유지하였다.
      표 4 1999년 중국 지역별
      포도 생산현황
      단위 : 만톤,
      %
      신강
      하북
      산동
      요녕
      하남
      절강
      기타
      합계
      생산량
      61.0
      44.7
      36.3
      30.8
      18.2
      9.7
      70.1
      270.8
      비율
      22.5
      16.5
      13.4
      11.4
      6.7
      3.6
      25.9
      100.0
      자료 : 중국 통계연감,
      2000년.
      1999년 중국의 지역별
      포도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신지앙(新疆)지역이 포도 총생산량의 22.5%를 차지하고 있으며, 허뻬이(河北)성이 16.5%, 산똥(山東)성이
      13.4%를 차지하고 있다표 4.
      포도는 중국 과일산업
      가운데 수입량이 수출량에 비하여 훨씬 많은 품목이다. 2000년 중국의 포도수입량은 약 3만톤에 달하고 있으며, 수출물량은 단지 14톤에
      불과하였다.
      4. 바나나
      바나나는 중국의 개혁개방
      20년 동안 생산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품목중의 하나이다. 1978년 중국의 바나나 생산량은 8.5만톤 이었는데 1999년에 419.4만톤에
      달하여 약 48배가 증가하였다. 중국 과일 총생산량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1978년 약 1.3%에서 1999년 6.7%로 증가하였다. 바나나의
      재배면적은 1980년 약 5천㏊에서 1999년 약 176천㏊로 증가하여 약 33배가 증가하였다. 중국의 바나나 주요 생산지역은 꽝똥(廣東)성이
      총생산량의 48.9%를 차지하고 있으며, 꽝시(廣西)성이 23%, 푸지엔(福建)성이 16.5%를 차지하고 있다표 5.
      바나나는 중국이 수입한
      과일가운데 수입량이 가장 많은 품목으로 1997년 약 55만톤이 수입되었다.
      표 5 1999년 중국 지역별
      바나나 생산현황
      단위 : 만톤,
      %
      광동
      광서
      복건
      해남
      운남
      귀주
      기타
      합계
      생산량
      205.1
      96.6
      69.3
      35.8
      10.5
      1.1
      1.0
      419.4
      비율
      48.9
      23.0
      16.5
      8.6
      2.5
      0.3
      0.2
      100
      자료 : 중국 통계연감,
      2000년.
      (이수행
      soohaeng@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

    요약문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수행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수행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470 0 11 0 0
  • 다음글 EU의 유기농식품 판매동향과 시장규모
  • 이전글 일본 2000년도 식료·농업·농촌백서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