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월간)세계농업정보

주요컨텐츠

세계농업정보 

제4유형
  • 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성명환
    등록일
    2000.11.29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세계곡물수급(2000/11성명환)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0/01년도 세계 쌀, 소맥, 옥수수의 생산량이
      1999/00년도보다 줄어들어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억
      3,664만톤이 될 전망이다. 2000/01년도 총공급량은 기말재고량 3억 5,511만톤과 생산량을
      합쳐 전년보다 약 2,800만톤 감소한 21억 9,175만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2000/01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0.4% 늘어난
      18억 8,378만톤으로 전망된다. 반면 세계 곡물 교역량은 전년대비 1.2% 줄어든 2억
      6,778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6%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4,714만톤 정도 초과할
      전망이어서 2000/01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13.3% 감소한 3억 797만톤으로
      줄어들고 전체 곡물 재고율도 16.3%로 내려갈 전망이다. 이는 1999/00년도 재고율보다
      약 2.6%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톤
      구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2000. 10
      2000. 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872.21
      1,864.60
      1,840.23
      1,836.64
      △1.5
      △0.2
      공 급 량
      2,213.55
      2,231.38
      2,196.61
      2,191.75
      △1.8
      △0.2
      소 비 량
      1,864.77
      1,876.27
      1,885.40
      1,883.78
      0.4
      △0.1
      교 역 량
      256.92
      270.96
      266.53
      267.78
      △1.2
      0.5
      기말재고량
      366.78
      355.11
      311.21
      307.97
      △13.3
      △1.0
      재고율(%)
      19.7
      18.9
      16.5
      16.3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8, Nov. 9, 2000.

      1.2. 쌀
      2000/01년도 쌀 생산량은 1999/00년도보다 480만톤 정도 줄어들어 4억톤
      미만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대비 6.0% 감소한 607만톤, 중국도
      1.8% 감소한 1억 3,650만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2000/01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0.3% 늘어난
      4억 119만톤으로 전년보다 130만톤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2000/01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수출량 기준)은 전년대비 5.3% 늘어난 2,504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3%로 전망된다.
      2000/01년도에는 생산량은 감소하고 소비량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5.6%가 줄어든 5,914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재고율도 14.7% 수준으로 하락하고, 특히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의
      재고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표 2 세계 쌀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2000. 10
      2000. 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394.00
      402.49
      397.33
      397.71
      △1.2
      0.1
      소 비 량
      388.70
      399.90
      401.44
      401.19
      0.3
      △0.1
      교 역 량
      26.93
      23.78
      25.09
      25.04
      5.3
      △0.2
      기말재고량
      60.03
      62.62
      58.64
      59.14
      △5.6
      0.9
      재고율(%)
      15.4
      15.7
      14.6
      14.7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8, Nov. 9, 2000.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1999/00년 5억 8,633만톤에서
      2000/01년에는 전년대비 1.1% 감소한 5억 7,987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유럽과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중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0/01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1999/00년 5억 9,555만톤에서
      0.1% 감소된 5억 9,596만톤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8/99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1억 2,301만톤으로 감소하였다가 1999/00년 1억 3,038만톤으로 늘어났으나,
      2000/01년에 다시 전년보다 2.8% 줄어든 1억 2,678만톤으로 될 전망이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1.9%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 기말재고량은 1억 2,709만톤으로 추정되나,
      2000/01년에는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로 전년대비 12.7% 감소한 1억 1,099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미국의 재고량도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18.6%로 떨어질 전망이다.
      표 3 세계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2000. 10
      2000. 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588.39
      586.33
      579.91
      579.87
      △1.1
      0.0
      소 비 량
      590.81
      595.55
      596.68
      595.96
      0.1
      △0.1
      교 역 량
      123.01
      130.38
      126.16
      126.78
      △2.8
      0.5
      기말재고량
      136.30
      127.09
      111.39
      110.99
      △12.7
      △0.4
      재고율(%)
      23.1
      21.3
      18.7
      18.6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8, Nov. 9, 2000.

      1.4. 옥수수
      2000/01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838만톤으로
      전년보다 2.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미국, 유럽 등의 생산량은 증가하나
      중국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고 아르헨티나의 생산량도 감소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0/01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1.5% 늘어난 6억
      1,185만톤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옥수수의 교역량은 전년보다 0.1% 줄어든 8,151만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9%로 낮아질 전망이며, 전체 교역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상회할 전망이다.
      2000/01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1억 189만톤으로 전망된다. 유럽의 기말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중국,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며,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4.1%포인트 줄어든 16.7%가
      될 전망이다.
      표 4 세계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2000. 10
      2000. 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05.55
      605.12
      592.36
      588.38
      △2.8
      △0.7
      소 비 량
      580.72
      602.70
      612.68
      611.85
      1.5
      △0.1
      교 역 량
      75.06
      81.60
      81.11
      81.51
      △0.1
      0.5
      기말재고량
      122.93
      125.35
      105.29
      101.89
      △18.7
      △3.2
      재고율(%)
      21.2
      20.8
      17.2
      16.7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8, Nov. 9, 2000.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0/01년에 사상 최대인 1억
      6,635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요 생산국인 중국,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3.0% 늘어난 1억
      6,547만톤으로 전망되어 생산량이 소비량을 90만톤 정도 초과할 전망이다.
      2000/01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3.5% 감소한
      4,537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27.3%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57.0%, 브라질이 23.4%, 아르헨티나가 9.7%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0.1%에 이를 전망이다.
      2000/01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474만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2,401만톤과 비교하여 73만톤 정도 늘어나 기말재고율도 15.0%로
      약간 올라갈 전망이다. 이는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전년대비 21.8%나 증가되고 아르헨티나,
      브라질의 기말재고율도 증가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표 5 세계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2000. 10
      2000. 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59.83
      157.68
      166.23
      166.35
      5.5
      0.1
      소 비 량
      160.18
      160.71
      165.24
      165.47
      3.0
      0.1
      교 역 량
      38.67
      47.00
      45.09
      45.37
      △3.5
      0.6
      기말재고량
      26.19
      24.01
      24.34
      24.74
      3.0
      1.6
      재고율(%)
      16.4
      14.9
      14.7
      15.0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8, Nov. 9, 2000.

      표 6 국제 곡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FOB
      품 목
      1998 평균
      1999 평균
      1999.11
      2000.10
      2000.11
      증감률(%)
      전년대비
      전년동월
      전월대비
      쌀(중립종)
      430.71
      500.56
      459.66
      392.69
      363.76
      △27.3
      △20.9
      △7.4
      쌀(장립종)
      309.56
      255.60
      234.25
      194.38
      194.00
      △24.1
      △17.2
      △0.2
      소 맥
      119.90
      122.06
      122.79
      108.27
      109.86
      △10.0
      △10.5
      1.5
      옥수수
      102.66
      92.10
      86.85
      88.61
      93.01
      1.0
      7.1
      5.0
      대 두
      234.33
      185.90
      182.10
      184.61
      190.24
      2.3
      4.5
      3.0
      주: 쌀 중립종은 U.S.
      California, Medium 1등품, 장립종은 태국 1등품 가격임. 소맥은 US
      Portland, White Wheat 1등품 가격이며, 옥수수와 대두는 US Gulf 2등품
      가격임.
      자료: 한국경제신문, UNICOM.

      2. 국제 곡물 가격 동향 및 전망
      2.1. 개황
      2000년 6월까지 보합세를 보이던 중·단립종 쌀의
      국제가격은 이후 하락하기 시작하여 11월 현재에도 계속 하락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소맥, 옥수수의 국제가격은 9월을 기점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반전되었으나
      소맥은 아직 전년보다 낮은 수준에 있다.
      2.2. 쌀
      중립종(자포니카 계) 쌀의 국제가격은 1998년 9월
      이후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999년 7월에는 사상최고치인 톤당 556.66달러를
      기록하고있다. 이후 하락하여 2000년 11월 국제가격(11월 17일 기준)은 전년대비
      27.3%, 전년동월대비 20.9%, 전월대비 7.4% 하락한 톤당 363.76달러 수준이다. 이는
      1995년 여름 이래 최저수준이며 이러한 가격하락의 주 원인은 올해 생산될 캘리포니아산
      수확량에 대한 기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태국산 장립종 쌀 가격은 1999년 10월 톤당 221.80
      달러까지 하락하였으나 이후 조금씩 상승하여 2000년 2월 253.25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이후 계속 하락하여 5월에는 톤당 210 달러 수준이었으나 11월(11월 17일 기준)에는
      전월대비 0.2% 하락한 톤당 194.00 달러 수준임. 이는 전년보다 24.1%, 전년동월대비로는
      17.2% 낮은 수준이다.
      2.3. 소맥
      밀의 국제가격은 1996년 5월 톤당 218.11 달러까지
      폭등한 이후 1997/98년의 대풍작에 따라 1997년 153 달러로 하락하였다. 가격하락에
      따라 1998/99년의 식부면적이 줄어들어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1998/99년의 국제 밀 가격은 120 달러로 더욱 하락하였다.
      국제 밀 가격은 1999년 12월에 톤당 112.44 달러까지
      떨어졌으나, 2000년 상반기에는 110∼118 달러 수준을 유지하였다. 2000년 8월에는
      톤당 102.92 달러까지 하락하였으나 이후 상승하여 11월(11월 17일 기준) 현재에는
      109.86 달러로 전월보다 1.5% 상승하였다.
      2.4. 옥수수
      1996년 5월 톤당 209 달러까지 폭등했던 옥수수
      국제가격은 연속된 풍작으로 1999년 7월에는 85.42 달러까지 폭락하였으나 이후 조금씩
      회복하여 2000년 5월에는 톤당 102.67 달러로 상승하였다.
      이후 하락하기 시작하여 2000년 8월에는 톤당 80
      달러로 하락함으로써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 하락세가 반전되어
      2000년 11월(11월17일 기준) 현재 톤당 93.01달러로 상승하였다.
      2000/01년 옥수수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고 기말재고량이
      1999/00년도에 비해 18.7% 하락할 전망이어서 국제 옥수수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5. 대두
      대두 국제가격은 1997년 5월에 톤당 331달러(미국
      Gulf, 2등품, f.o.b.)까지 상승하였으나, 1997/98, 1998/99년의 연이은 풍작에 따라
      1998년에 234.33 달러, 1999년 7월에는 168.98 달러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상승하기
      시작하여 2000년 5월에는 톤당 211.72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이후부터 국제가격이 하락하여 2000년 8월에는 톤당
      178.87 달러까지 하락하였으나 11월(11월 17일 기준) 현재에는 190.24 달러로 상승하였다.
      이는 전월보다 3.0% 상승한 수준이다.
      (성명환 mhsung@krei.re.kr 농산업경제연구부)
      (한지수 virtus@krei.re.kr 농산업경제연구부)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성명환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064 0 4 0 0
  • 다음글 월간 세계농업뉴스 제3호(2000년 11월)
  • 이전글 독일의 농업정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