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임업관측정보

제4유형
임업관측정보 상세보기 - 카테고리, 제목, 파일, 내용 정보 제공
2009_ 05대추관측월보
 년   월
파일
 
 
 
 
대추 재배면적 신규재배지 위주로 증가
대추 유목 비율은 작년보다 증가하고 재배면적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대부분 보식위주로 식재가 이루어져 전반적인 대추 재배면적 증가폭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안동, 봉화 등 신규재배지 위주로 재배면적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예외적으로 보은은 대추재배를 군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어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품종 지역특색을 고려하여 충북은 홍안을, 경북은 복조가 주를 이루었으며, 나머지 품종에 대하여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년대비 대추 재배면적 변화
단위 : %
 
구분 증가 작년수준 유지 감소
10 76 13
경북 5 82 14
충북 - 86 14
전남 35 50 10
  주 : 주산지 표본임가 및 지역자문위원 조사치(3월 26일 ~ 4월 6일)
 
주산지별 대추나무 식재동향
단위 : %
 
구분 갱신 보식 신규조림
3 18 7
경북 3 12 2
충북 7 21 -
전남 - 35 30
  주 : 주산지 표본임가 및 지역자문위원 조사치(3월 26일 ~ 4월 6일)
 
대추 재배지 관리 양호
지역별로 전정시기 등의 차이는 다소 있으나 정지전정, 간벌, 비배관리 등 대추나무 재배지 관리는 전반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겨울가뭄 등 기상여건의 변화에 의한 대추 재배지 피해는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겨울기온 상승 등으로 개화시기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어 이후 생육상황은 기상여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주산지별 재배지 관리동향
단위 : %
 
구분 전체 경북 경남 충북
간벌 81 77 86 90
정지전정 79 80 71 80
비배관리 93 94 86 95
  주 : 주산지 표본임가 및 지역자문위원 조사치(3월 26일 ~ 4월 6일)
 
해충 발생량 작년대비 증가할 듯
겨울기온 상승 등의 기상여건을 고려할 때 해충 발생량은 작년보다 “증가” 57%, “비슷” 31%, “감소” 12%로 작년보다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응애, 매미충 등 각종 해충 발생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겨울 기온상승 등으로 발생 시기도 작년보다 앞당겨 질 것으로 예상되어 전문약제 살포 등의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대비 발생예상 병해충
단위 : %
 
구분 증가 비슷 감소
57 31 12
경북 47 36 17
충북 64 29 7
전남 85 15 0
  주 : 주산지 표본임가 및 지역자문위원 조사치(3월 26일 ~ 4월 6일)
 
 
건대추 상품 산지가격 전월대비 상승
1월 건대추 상품 산지가격은 재고량이 많고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수요가 약해 작년대비 크게 하락하였다.
3월 하순∼4월 초 건대추 상품 산지가격은 국내 대추가격이 매우 낮게 형성됨에 따라 소비가 소폭 증가하여 전월대비 9% 상승하였다.
 
월별 건대추 산지도매가격 동향
단위 : 원/kg
 
구분 연도 1월 2월 3월 4월

특품
(별초)

2009 7,857 8,214 8,571 8,571
2008 7,143 7,857 7,857 5,871
상품
(특초)
2009 3,571 3,571 3,929 4,286
2008 5,357 5,357 5,000 5,000
중품
(상초)
2009 2,143 2,143 2,500 2,714
2008 4,286 4,286 4,286 4,286
  주 : 4월 가격은 4월 12일까지의 평균가격임.
자료 : 지역자문 및 중앙자문위원 조사치
   
 
 
4월 이후 건대추 상품 산지가격 강보합세 전망
 
4월 이후 건대추 상품 산지가격은 2007∼2008년산 대추의 재고량이 많은 반면 저장물량의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건대추 수입량 작년대비 감소
2008년도 건대추 총 수입량은 2007년도 보다 16% 하락한 194톤으로 2008년도 시장접근물량(MMA)인 259.5톤의 약 7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까지의 건대추 총 수입량은 25kg으로 작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월별 대추 수입실적
단위 : 천USD, 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생대추 `09 금액 - - - - - - - - - - - - -
중량 - - - - - - - - - - - - -
`08 금액 17 - - - 35 - 17 - - - - - 69
중량 25 - - - 49 - 25 - - - - - 99
`07 금액 90 82 - 56 78 32 - - - 17 - - 355
중량 164 128 - 66 108 31 - - - 25 - - 522
건대추 `09 금액 0 0 - - - - - - - - - - 0
중량 0 0 - - - - - - - - - - 0
`08 금액 10 - 69 104 - 57 - 0 - 0 0 0 240
중량 8 - 64 78 - 44 - 0 - 0 0 0 194
07 금액 - 77 46 76 0 56 0 - - - 23 10 288
중량 - 71 34 64 0 41 0 - - - 17 8 234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4월 이후 건대추 수입량 크게 감소할 듯
 
4월 이후 건대추 수입량은 재고량이 많고 국내 대추가격이 낮으며, 환율상승으로 수입대추의 가격경쟁력이 없어 작년대비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대추나무 시비는 시기에 따라 휴면기에 사용하는 밑거름, 생육기간 중에 사용하는 웃거름으로 구분한다.
밑거름은 낙엽 후 일찍 사용하는 것이 과실 품질에 좋고 낙과가 적으며 수량도 많다. 일반적으로 퇴비 등 지효성 유기질비료를 화학비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웃거름은 부족한 비료성분을 보충해 새가지 생장, 과실비대, 저장양분의 축척에 도움을 준며 질소와 칼리질비료를 사용하며 착과가 완료단계에 들어간 7월 중하순경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료제공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기압계 전망
 
4월 중순과 5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4월 하순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기압골이 주로 북쪽과 남쪽으로 치우쳐 지나감에 따라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1)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4월중순 최고기온 17.7 17.6 19.1 20.0 19.2 19.2 17.1 17.3
최저기온 7.2 7.5 6.2 7.8 6.6 7.1 9.7 9.7
강수량 26.4 25.9 30.6 28.4 31.4 32.2 45.3 27.8
4월하순 최고기온 19.9 20.0 21.5 22.6 21.7 21.6 19.5 19.1
최저기온 9.5 9.9 8.6 10.0 9.1 9.5 11.5 11.5
강수량 29.1 25.8 28.8 23.6 26.6 32.8 50.9 33.7
5월상순 최고기온 21.3 21.2 22.4 23.7 22.8 22.4 20.4 20.3
최저기온 10.9 11.2 10.0 11.4 10.5 10.7 12.8 12.6
강수량 36.3 26.7 33.8 29.9 34.6 42.2 64.0 32.8

1) 1971~2000년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09년 9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9. 8. 15) *

 

 
품목: 대추
내용: 대추 재배 동향, 가격 동향 및 전망, 수입 동향 및 전망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메뉴바의【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4293 FAX: 02) 960-0165 http://www.forest.go.kr ☎ 042) 481-4207 FAX: 042) 471-1446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현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