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산불, 예방이 최선이다
2546
기고자 석현덕
내일신문 기고 | 2017년 5월 19일
석 현 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대선기간 막바지 열기가 한창이었던 지난 6일, 강릉·삼척에서 갑작스레 발생한 대형 산불은 우리에게 큰 상처를 남겼다. 수십 채의 민가와 가축은 물론이고, 수십 년간 키웠던 나무와 아름다운 숲도 한순간에 잃었다.
 

그 피해 규모는 계산이 힘들 정도로 엄청나다. 거기에 수천명의 진화인원, 헬기 등 지원 장비, 주민들과 진화인력의 정신적인 피해까지 포함한다면 그 피해액은 실로 천문학적일 것이다.
 

산불은 일단 발생하면 그 불길의 방향을 예상할 수 없어 더욱 위험하다. 특히 날씨가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시기에는 진화가 결코 쉽지 않다.
 

현재 우리의 산불진화체계와 장비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초속 20m 이상의 강풍과 메마른 산지에서는 그것도 불가항력이다. 강풍 앞에서는 헬기도 굉장히 위험하고, 겨우 진화되었나 싶은 불길이 밤사이 다시 살아나면 무력감까지 느낀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산불은 예방이 최선이다.
 

위험기간에는 아예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산불 예방에 훨씬 많은 노력을 투입해야 한다. 산불진화과정은 예방 예찰 초기진화 진화 뒷정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
 

그간 등산객의 실화, 쓰레기와 밭두렁 소각 등 사람으로 인한 발화가 산불의 주요 원인이라는 조사 결과만 봐도, 개개인의 노력이 산불 발생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지금도 다양한 형태의 예방활동을 하고 있지만 산불이 계속 난다는 것은 기존의 예방활동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산불의 철저한 예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산불이 발생해도 근본적으로 진화가 힘든 지역에 대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예컨대 영동지역과 같이 봄이나 가을에 대형 산불을 많이 겪었던 곳이 대상이다. 이런 지역은 관리면적을 좀 더 넓게, 기간을 넉넉히 잡아 통째로 입산금지 조치가 필요하다. 산불 위험기간에 아예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 산불을 방지하는 것이다.
 

둘째, 밭두렁 소각 금지기간을 확대하고 철저히 운영해야 하며 주민을 대상으로 교육도 해야 한다. 규정대로 하지 않을 시 부과하는 과태료도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 셋째, 산불실화범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어야 하고 이 역시 과태료를 대폭 늘려야 할 것이다. 실화범은 철저히 색출하고, 산불을 내면 반드시 잡힌다는 것이 알려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형태의 산불예보 활동이 실제 입산자들에게 알려지도록 해야 한다. 지금도 물론 산불예보활동을 하고 있지만 예보가 실제로 필요한 사람에게 가는지는 의문이다. 예컨대 등산 관련 SNS를 활용하여 예보를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다섯째, 산불예찰을 위해 4차산업혁명 기술을 대폭 적용해야 한다. 이미 일부 선진국에서는 초정밀 센서나 스캐너 등을 활용하여 예찰에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예찰에 도움도 되지만 산불실화범을 찾는 데도 도움을 준다.
 

등산로 줄이고 등록제 도입하면 효과적

여섯째, 산불교육을 어린이들부터 철저히 해서 모든 국민이 산불예방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등산로의 시스템화 같은 산불예방에 필요한 플랫폼을 개선해야 한다. 등산로를 줄이고 등록제를 도입한다면 장기적으로 입산자의 관리가 훨씬 쉬워질 것이다.
 

산불예방에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과 예산이 투입되어도 산불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피해액보다는 훨씬 적을 것이다. 때마다 반복되는 산불 피해로 무고한 주민들의 삶의 터전과 소중한 산림이 훼손되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 때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