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까다롭지만 진출해야 할 할랄시장!
4565
기고자 김경필
KREI 논단 |  2015년 3월 20일 
김 경 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필자의 어머니는 음식에 관해 종교나 관습에 의한 금기 사항들이 많고 엄격하게 지키시는 편인데, 그 중 하나가 닭고기와 계란은 절대 드시지 않는 것이다. 어머니께서 다니시는 절이 닭의 형상을 한 지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가족이 몇 년 전 미국에서 생활할 때 여러 국적의 사람들이 자국 음식들을 만들어와 나눠먹는 팟럭(potluck) 행사에 참여하곤 했었다. 한번은 한 인도인이 김밥 속 재료에 들어있는 계란 지단을 보고 무엇인지를 확인만 하고 먹지는 않았다. 무슬림의 음식 문화가 매우 까다롭다는 것을 처음 체험한 순간이었다. 우리나라 시장이든 해외 시장이든 우리 농식품을 순조롭게 판매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허용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와 조건을 세심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할랄시장은 이슬람법 ‘샤리아’에 부합하는 시장을 총칭하며, ‘할랄(Halal)’의 뜻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 ‘무슬림이 먹어도 되는 음식’임을 의미한다. 할랄식품의 필수요건은 원료, 생산 장소 및 시설, 공정, 저장, 수송, 판매, 서비스, 섭취단계까지 모든 제품별, 단계별로 매우 까다롭다. 할랄인증도 매우 까다로운데, 예를 들어 라면을 할랄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복합원료인 라면 스프의 개별 재료까지 제조공정서의 모든 서류를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 할랄시장 진출 중요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으며, 정부도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과 성장동력 확보의 한 축으로서 할랄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초 아랍에미리트(UAE)와 할랄식품 협력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고,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할랄식품 전용단지 조성계획을 검토하고 있으며, 한국식품연구원에 할랄식품 사업단을 설치하였다.
 

우리 농식품이 할랄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하는 이유는 첫째, 할랄 식음료 시장은 2012년 1조 880억 달러에서 2018년 1조 6천억 달러 수준의 성장이 전망될 정도로 유망하며, 둘째, 농식품 수출 신흥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에 무슬림 인구의 60%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셋째, 할랄시장 진출 노력은 종교를 바탕으로 한 라이프 스타일과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행태 트렌드 변화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무슬림 거주인구가 많은 유럽, 중국, 일본 등은 할랄 산업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할랄제품의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할랄 제품의 영역은 화장품, 의약, 금융 등의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다만, 이제부터 우리 농식품이 할랄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있다. 첫째, 할랄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한국 기업이 2010년 이후 할랄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할랄시장 정보 인프라가 취약하므로 할랄 인증, 할랄시장 업무 전문담당 기관, 할랄 제품 생산의 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할랄 파크를 조성하는 계획을 실현시킬 필요가 있다. 할랄인증 기준은 용수, 하수 부분에까지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할랄파크에서 원재료 공동 소싱, 식품원료 데이터 공유, 정보 교류 등에 있어서 공동으로 대응해야 집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영국의 사우스웨일즈, 말레이시아 등이 할랄파크를 조성하여 수출을 늘리는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다. 셋째, 정부의 수출지원사업에 할랄 관련 부분 지원사업 발굴이 필요하다. 할랄시장 진출에 노력하는 수출업체들은 할랄과 관련된 해외 박람회나 푸드쇼 참가, 상품화 기술개발 지원, 국내외 할랄 인증 지원에 수요가 높다. 끝으로, 정직을 최우선으로 하는 이슬람 마케팅 윤리 숙지와 할랄 및 할랄관련 문화 전문가 양성도 중요하다.
 

할랄식품을 수출하는 과정은 매우 까다롭지만 우리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비단 무슬림이 아니더라도 전 세계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까다로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할랄시장 진출 및 정착여부는 전 세계의 현지인을 대상으로 우리 농식품을 수출할 수 있는지, 세계의 농식품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첫 번째 단계로 여겨도 좋을 듯 싶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