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농정소식

제4유형
농정소식 상세보기 - 제목, 내용, 첨부, 작성자, 게시일 정보 제공
’17년 농식품 수출, 전년대비 5.6% 증가한 68억불 달성
2095


( 전체현황 및 성과 )
사드여파에 따른 對중국 수출감소, AI 발생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농식품 수출은 2016년에 이어 2년 연속 5%이상 증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2017년도 농식품 수출이 전년대비 5.6% 증가한 68억불을
   상회하였다고 밝혔다.
○ 최대 수출시장인 일본은 ‘12년 이후 계속 감소하였으나 ’17년에는 13.4%로 크게 증가,
   동남아시장 집중 공략 등을 통해 사드로 인한 對중국 수출 감소(987백만불, △10.0%) 충격 완화
○ 新남방정책 대상인 아세안 시장은 AI 발생에 따른 닭고기 수출차질에도 불구하고
   라면, 딸기 등의 수출확대로 인하여 일본에 이어 제2의 수출시장으로 부상(1,211백만불, 9.3%↑)


□ 라면 등 가공식품 수출액은 5,733백만불로 전년 대비 7% 증가하여 수출 주도
   신선농산물은 전년 대비 다소 감소(1,096백만불, △1.2%)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외시장에서 라면(381백만불, 31.2%)의 인기가 계속되면서 면류(515, 25.6%)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중화권 시장의 수요 증가에 따른 맥주 수출(113, 23.8%) 증가
 - 라면은 사드여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유통망 등을 통한 소비확대로 對중국 수출 첫 1억불을 달성하는 한편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입점매장 확대, 미국내 에스닉(소수민족) 시장의 수요 증가 등
   최초로 3억불 이상(3.8억불) 달성
○ 신선농산물의 경우, 홍콩과 싱가폴,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 수요가 크게 확대된 딸기가 44백만불(29%↑)로
   사상 최대치 기록
 - 인삼류(158백만불, 18.7%)는 중국의 현지 뿌리삼 재고 감소와 미국내 히스패닉중국계 등 유통망 확대 및 제품
   다양화 등으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임

○ 농식품 수출은 ‘17년 초에는 수출호조세로 출발하였으나, 중국의 한류콘텐츠 방영 금지, 한국식품 불매 운동 등의
   사드여파로 ‘17.4월부터 對중국 수출 증가세가 꺾이면서 전체적으로 5.6%의 증가로 마무리됨
 * 수출 증감률(누계) : (‘17.1월) 7.1% → (3월) 11.3 → (6월) 6.5 → (10월) 4.8 → (12월) 5.6


□ 농식품부는 對중국 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일본·동남아·중동 등을 대상으로 시장다변화 노력을 선제적으로
   적극 전개함으로써 對중국 수출 감소를 만회할 수 있었다고 분석함
   또한,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해 시장다변화를 통하여 보다 넓은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품목별
   수출통합조직을 육성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수출기반을 확대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첨부
작성자 농림축산식품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