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농정소식

제4유형
농정소식 상세보기 - 제목, 내용, 첨부, 작성자, 게시일 정보 제공
GAP 선도농가, 여기 다 있네!
2594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농업인의 농산물 우수관리(GAP) 참여를 촉진하고 지자체 관심 제고를 위해 GAP 우수농가 사례집을 책자로 제작배포한다.
 
ㅇ 지난해 개최된 제1회 GAP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종 수상 농가 10팀의 사례를 중심으로 5,000부 가량 제작되어 17개 시도를 통해 GAP 인증농가 또는 인증 희망 농가에 배포할 예정이다.
 
 
□ ‘안전안심 GAP를 만나다’라는 제목의 이번 책자는 제작과정에서 GAP 농가 현장 밀착 취재, 전문가 및 농가 대표자 인터뷰 등 짜임새 있게 구성하였으며, GAP 인증 농산물의 안전성 강화, 매출 증대 사례 등을 통해 GAP 인증이 갖는 시사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사례①) 충남 금산의 ‘GAP 추부깻잎연구회’는 GAP 인증 후 반품률이 4.1→1.7%로 감소하여 손실률 하락에 따라 수익이 증가되었고, APC 운영이 흑자로 전환되는 등 우수 사례가 나타났다. 또한 자생적 GAP 농가 조직 구성으로 소속 농가들의 의지가 매우 강하고, GAP 실천을 통한 높은 안전관리품질 향상으로 대형 유통업체에 입점하는 성공사례를 거두었다.
 
(사례②) (사)포항시GAP인증자 협의회는 포항시 내 31개 출하자 단체의 규모화된 연합으로 체계적인 GAP 관리를 통해 수도권 대형유통업체에 입점, 출하라인을 다변화하여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였다. GAP 기준에 맞게 농자재를 적절히 사용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소비지의 신뢰를 얻었으며 장기적으로 GAP 농산물이 시장에서 인정을 받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GAP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사례③) 광양시농산물수출물류센터는 지자체(광양시)의 GAP 인증 의지가 높고 유통에 대한 노력을 많이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AP 인증에 따라 ‘12년도 매출액 약 25원에서 ’14년도 매출액 약 45억원으로 80%가량 증가하였으며 GAP 기준에 따라 농자재를 관리보관하다 보니 분실률이 감소하여 자연스럽게 생산비 절감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 이번 책자는 GAP 생산자단체, 강소농, 농업인 연구회 등에 전달하여 농업인들이 GAP를 현장에 직접 적용하는데 있어서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작하였으며,
 
 
□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GAP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 유통업체소비자단체 등 GAP 교육을 확대 실시할 예정이며, GAP 이행 농업인들의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제2회 GAP 우수사례 경진대회도 오는 4월부터 지자체(시군)를 통해 접수를 받을 계획이다.
 
 
 *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첨부
작성자 농림축산식품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