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곡물 수입, 국제시장 불안정 시 위험 요소 분산 못해”
3331
원문

 

“곡물 수입, 국제시장 불안정 시 위험 요소 분산 못해”

 

‘국제 곡물시장 분석과 수입방식 개선방안’ 연구 통해 밝혀

  

 우리나라의 곡물구매 방식은 국제시장이 불안정할 때 위험요소를 분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대섭 부연구위원 등이 ‘국제 곡물시장 분석과 수입방식 개선방안’ 연구에서 밝혔다. 이는 곡물 수입방식을 공개경쟁입찰에 의한 최저가 낙찰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60%의 곡물을 다국적 곡물메이저인 사기업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옥수수의 경우 곡물메이저를 통해 60% 이상 수입(2007년 제외) 하였고, 밀과 대두도 약 60%를 곡물메이저를 통해 수입하고 있다. 국내로 수입되는 옥수수의 평균 낙찰가격은 평년에는 메이저가 낮은 편이나 가격 급등기에는 메이저가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밀은 평년과 가격 급등기 모두 메이저의 낙찰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연구위원은 “이는 메이저가 비메이저에 비하여 가격 및 시장 예측력이 뛰어나 경쟁력이 높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곡물 자급도를 증대시켜 국제시장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 개선방안으로 첫째, 베이시스(Basis) 거래를 활성화하고, 선물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둘째, 곡물메이저 육성을 통해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국제시장 정보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제공해야 한다.

 
* 설명자료 한글파일 바로가기*

                                                                                                      

                                                                                               ○ 제공일 : 2010년  2월  3일

                                                                                               ○ 제공자 : 이대섭 부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169

                                                                                                 

작성자 홍보출판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