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04-26)
    저자
    김홍상 , 김경덕
    등록일
    2004.10.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The current situation of DDA agricultural negotiation and rice market opening negotiation under the WTO system strongly urges Korean government to open more positively agricultural product market, especially rice market, which will result in the decrease in the profitability of rice industry and the...

  • 목차


    • 제1장 서 론
      1. 농지은행제도 도입 추진 경위 1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3. 연구범위와 방법 6
      제2장 쌀시장 여건 변화에 따른 농지가격 변동 분석
      1. 최근까지의 농지가격 변동의 실태와 특성 10
      2. 쌀값과 농지가격 변동간의 관계 분석 14
      3. 쌀시장개방 시나리오별 쌀값변동과 농지가격 분석 21
      제3장 외국의 사례 분석과 시사점
      1. 일본의 사례 24
      2. 프랑스의 사례 32
      3. 미국의 사례 37
      4. 외국 사례의 시사점 38
      제4장 농지은행의 기본구상
      1. 농지은행제도의 개념과 도입의 기본방향 42
      2. 농지은행의 주요 기능과 사업범위 51
      3. 주요 기능별 도입시기 56
      4. 농지은행의 운영 주체 59
      5. 농지은행의 재원조달 방안 62
      제5장 농지은행의 주요 기능(사업)별 도입방안
      1. 농지시장 안정 기능 64
      2. 종합적 농지관리기구 기능 68
      3. 농지유동화정보 생산·관리 기능 70
      제6장 농지은행제도 운영시 제기되는 주요 검토과제
      1. 사업대상농지의 우선순위 72
      2. 보유농지의 처리와 활용방안 73
      3. 농지매입·매도가격의 결정방식 74
      4. 수지구조와 수지전망 77
      5. 관련 정책사업과의 관계 정립 79
      6. 원활한 기능 수행을 위한 제도 정비 83
      제7장 요약 및 결론 85
      Abstract 91
      참고문헌 93
      부 록 97

    요약문

    The current situation of DDA agricultural negotiation and rice market opening negotiation under the WTO system strongly urges Korean government to open more positively agricultural product market, especially rice market, which will result in the decrease in the profitability of rice industry and the rapid decrease in demand and price of farmland. Rice fields have used most of farmlands and the farmland has been the most important asset of farmers in Korea. Farmland market and farmers' economy shall be thrown into confusion by the sharp decline in farmland demand and price. These changes in farmland price have required to introduce a new farmland management system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ossibilities and prepare action programs for introducing farmland banking system as a new farmland management system and a few policy issues surrounding it.
    This research shows the reasons why the introduction of farmland banking system is necessary and the main role of farmland banking system, and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 measure to stabilize the farmland market, (2) it should cope with the diverse and increasing demand for farmland to accord the changes in farmland systems(making a partial amendment of the Farmland Law) and to empower and enterprise rural community etc, and (3) it should make the rice industry competitive by improving the existing farmsize through ‘farmsize increasing projects’ and restructuring the industry etc.
    Japanese, French, and American experiences show severe problems of sudden decrease in price and confusion of farmland market. But it will not happen and the decrease of farmland price can play positive role in restructuring rice industry if Korean government takes measures to meet the situation of opening rice market and farmland banking system is introduced to Korea and mobilizes the farmland more actively than before.
    Farmland banking system can be introduced a little more easily by putting the roles of farmland banking system onto the KARICO(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that has managed the ‘farmsize increasing projects’.
    There are several policy issues for introducing this kind of new system : types of buying farmland, the priorities in target group of farmland, time to buy farmland, fundraising, taking legal steps for realizing new programs, harmonizing with other programs, reforming the practicing systems of the related policy programs etc.
    Researchers : Kim Hong-Sang, Kim Kyeong-Duk
    E-mail Address : hskim@krei.re.kr

    저자정보

    김홍상 이미지

    저자소개
    김홍상 (Kim, Hongsang)
    - 원장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김홍상 이미지

    저자소개
    김홍상 (Kim, Hongsang)
    - 원장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3440 0 16 0 0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