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경제사회 발전과 농림수산업의 역할 변화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보고 (R236)
    저자
    이정환 , 조덕래; 조재환
    등록일
    1991.07.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식량생산이 부족하던 1970년대까지는 농업은 식량생산을 위한
      농업으로서 그 중요성에 의문이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 외환사정이 호전되고, 국제환경이 바뀌면서 농업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농산물 무역자유화의 압력이
      GATT체계를 통하여 강하게 밀어닥치고 있는 커다란 전환점에서 과연
      국내 농업이 보호의 벽속에서만 성장·발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의문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량공급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경제효과까지도 포함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농업의 역할을
      제조명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1) 먼저 한국 농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을 제조명하기
      위해 세계 농업의 변혁, 교역질서 변혁, 세계 농업정책 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2) 농산물가격의 사회후생효과, 농업부문의 국내 자본형성 기여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농업의 역할 변화를 파악하고 경제발전단계에서
      농업에 기대되는 역할을 발전론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3) 세계 농산물시장의 불안정성, 기후 변동, 인구 증가 등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검토함으로써 식량의 공급측면에서
      농업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4) 마지막으로 농림수산업의 외부경제효과를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체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농업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3. 연구결과 요약
      (1) 한국에서도 농업의 역할은 식량안보기능, 고용기능과
      더불어 외부경제효과의 중요성이 점차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것은
      농업부문을 시장경제의 논리에만 맡기는 경우 시장 실패가 일어날
      수밖에 엾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업의 외부경제효과는 다음과 같다.
      (2) 농림업의 자원보존 기능을 총괄하면 다음과 같다.




      價額(10억원)
      비고(일본, 10억)
      강수 저류기능 산림
      경지
      340∼450(억M/T)
      23∼30(억N/T)
      3,040∼4,590
      940
      1,610∼3,680
      850
      지하수 함양기능 경지
      1OO(억M/T)



      토양 보존기능 산림
      경지
      1,953㎥
      3,781∼6,220
      2,320∼5,570
      100
      환경 보존기능
      (대 기 정 화) 산림
      경지
      (수질정화) 산림
      (폐기물정화) 경지



      230(억 N/T)

      2,113∼15,725

      4,873∼11,440
      10,850
      140
      계 산림
      경지

      8,934∼26,535
      940
      8,803∼20,690
      11,940




      시민농원 일 본
      독 일
      영 국
      프랑스
      화 란
      농촌공원 미 국
      영 국
      농가민박 독 일
      480평 규모
      3OO㎡
      330㎡
      200㎡
      220㎡
      3,487지구
      80만개
      50만 회원
      17만 회원
      7만 회원
      147개
      19,600호
      호당 675박


      (4) 비록 현재 세계 곡물시장은 과잉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불안은 도리어 높아질 우려도 있다,
      ① 세계 곡물시장은 지난 1980년 사이에 6번의 대파동을
      경험하였다.
      ② 기후의 온난화현상으로 인하여 단수의 불안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③ 세계 인구의 증가는 연평균 1.7%를 유지할 것이다.
      ④ 새로운 농정사상이 등장하면서 휴경면적이 증가하고, 저투입,
      조방화 농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 농산물 생산을 불안하게 할
      우려가 있다.
      ⑤ 세계 곡물시장은 새로운 질서가 확립되지 않는 한 협소성과
      독점성, 그리고 비탄력성 때문에 작은 변동에도 큰 가격 파동을
      일으킨다.
      ⑥ 현재 40세가 지난 중고령 농업 취업자가 자연 은퇴할 때까지는
      이들에게 안정된 고용의 장을 제공하여야 하고, 또 교육투자의 형태로
      인적 자본형성에도 계속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5) 이와 같이 농업은 단순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외부경제효과가 있고, 외부경제효과는 산업화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더욱 더 중요해진다는 사실에 유의하여 농정방향을
      수립하여야한다. 첫째, 농업이 가지고 있는 외부경제효과를 고려하여
      농업부문에 대한 정부의 지원수준이 결정되어야 한다. 둘째,
      농업부문이 가지고있는 외부경제효과는 생산규모와 생산방법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농업정책은 외부경제효과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그 효과가 최대화 될 수 있는 생산규모와 생산방법을 지원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세계농업은 재편기에 접어들어 불안정이
      대단히 높다. 또한 아직도 농업은 대안이 없는 중고령 농업취업자에게
      고용의 장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파동에 대비한
      완충능력을 갖고, 고용의 장으로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개방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4. 연구결과의 활용
      한국 농업이 식량공급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경제효과까지도 포함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농업의 역할 변화를 제조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체계 유지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정환 (Lee, Jung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8563 1 11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김미복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여성의 일자리 실태와 정책 과제

      농촌여성의 일자리 실태와 정책 과제
      이순미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부문 거시계정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이전글 축산물 도매시장과 도축장의 적정립지와 운영개선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