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종자산업의 도약을 위한 발전전략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수석 , 박현태
    등록일
    2013.12.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종자산업은 미래성장동력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로 이를 ‘골든 시드' 산업으로 명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골든 시드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돌파해야 할 난관들이 많이 있는 상태이다. 종자산업 내에서도 식량종자산업은 산업의 민영화를 추진해야 하고, 채소종자산업은 다수의 영세한 소규모 종자회사를 구조조정하거나 육성할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과수 및 화훼종자산업은 높은 외국산 품종 수입률에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국내 종자산업의 기본방향 및 지침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런 제반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종자산업의 특성과 세계시장 동향
      제3장 국내 종자산업의 현황 분석
      제4장 종자기업의 운영실태와 글로벌 종자기업의 경영전략
      제5장 농업인의 종자이용 실태 및 의향 조사
      제6장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정책 및 기업전략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종자산업은 미래성장동력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로 이를 ‘골든 시드' 산업으로 명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골든 시드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돌파해야 할 난관들이 많이 있는 상태이다. 종자산업 내에서도 식량종자산업은 산업의 민영화를 추진해야 하고, 채소종자산업은 다수의 영세한 소규모 종자회사를 구조조정하거나 육성할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과수 및 화훼종자산업은 높은 외국산 품종 수입률에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국내 종자산업의 기본방향 및 지침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런 제반 사항에 대해 실태를 파악하고 현실과 현재의 역량에 부합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of developing the domestic seed industry by exploring recent trends of the seed industry and finding out its problems. When the market value of the seed industry in 2010 was estimated, the value of food seeds was 75.4 billion won, vegetable seeds 236.8 billion won, fruit seeds 116.6 won and flower seeds 259.2 billion won. The total market value of the seed industry was estimated, therefore, at 688 billion won. The seed industry is divided into four parts and each part has a different structur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operated in the food seed industry by the state and in the vegetable seed industry by private companies. In the fruit and flower industr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indeed partly operated by the state and partly by private companies, but in this case most seeds are importe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the vegetable seed companies, the proportion of the companies, which achieved in 2012 revenue over 10 billion won, was 36.8 % and the companies of revenue under 5 billion won accounted for 57.9%, but the companies of revenue between 5 and 10 billion won accounted for only 5.3%. Consequently the corporate structure of vegetable seed companies can be seen as a polarization by the large and the small companies. The opinion survey about the agricultural policy for the seed industry shows that 70% of the farmers prefe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s of food seeds by the state.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seed companies prefer the privatization of the food seed industry. As for the breeding promotion policy, most farmers prefer the promotion of the hybrids breeding to the gene manipulation (GM) breeding for the consumer protection and food safe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eed industry, the following measures can be suggested:
    1) The basic direction of the seed industry policy should promote the breeding of the hybrid seeds rather than of the GM seeds. The reasons for this are that the safety of GM seeds are still uncertain and the GM breeding ability of domestic industry has no competition ability.
    2) In order to protect the indigenous genetic resources from the patent rights of the climate gene by the global enterprises,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agreement (ABS) should be executed.
    3)The privatization of food seed industry should be introduced gradually. Selecting the seed should be also placed in order. In the transition phase towards privatizati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NACF) plays an important role.
    4) To resolve the problem of dual structure in the vegetable seed industry, it is necessary to bring the specialization of certain seeds by the coalition of many small companies.
    5) In the fruit and flower industry, the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in which one accepts the foreign highly qualified varieties as a better technology and looks for ways of cooperation with those foreign companies.


    Researchers: Soo-Suk Kim, Hyun-Tae Park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2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수석 (Kim, Soosuk)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8414 0 134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