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안 연구
  •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안 연구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23-58)
    저자
    임영아 , 정학균; 서준영; 김병률; 이세진
    등록일
    2024.02.2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기후위험 및 영향평가 → 적응대책 수립 → 적응대책 이행 및 성과 평가 및 평가 결과 환류’ 과정을 검토하여 기후위험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 이행평가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목차

    • 제1장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위험과 적응
      제2장 탄소중립 전환과 농식품 분야 전환적 기후위험
      제3장 농식품 분야 적응대책의 한계
      제4장 기후안전사회를 위한 적응대책 수립방안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기후위험 및 영향평가 → 적응대책 수립 → 적응대책 이행 및 성과 평가 및 평가 결과 환류’ 과정을 검토하여 기후위험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 이행평가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저자에게 문의

    임영아 이미지

    저자소개
    임영아
    - 연구위원
    - 소속 : 자원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488 0 0 0 0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라오스 쌍통군 농촌개발 및 영농기술센터 지원사업 사후평가

      라오스 쌍통군 농촌개발 및 영농기술센터 지원사업 사후평가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경제 제45권 제2호

      농촌경제 제45권 제2호
      KREI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정문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재료산업과 연계한 한식산업 발전 방안

      식재료산업과 연계한 한식산업 발전 방안
      황윤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개발도상국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농업 ODA 사업 개선 방안

      개발도상국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농업 ODA 사업 개선 방안
      이효정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로컬푸드 확대 효과 분석 연구

      로컬푸드 확대 효과 분석 연구
      황윤재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년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 사업보고서

      2020년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 사업보고서
      이용선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품산업정보포럼 운영 및 웹진 실적 보고서

      식품산업정보포럼 운영 및 웹진 실적 보고서
      이용선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황윤재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실태와 개선과제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실태와 개선과제
      황윤재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5/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5/5차년도)
      성주인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성주인
      2018.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시 근교 및 도농복합지역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도시 근교 및 도농복합지역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서·어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도서·어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 및 원격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일반 및 원격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적용 실태와 과제 : 대체축산식품과 3D 식품 프린팅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적용 실태와 과제 : 대체축산식품과 3D 식품 프린팅을 중심으로
      박미성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3/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3/5차년도)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박시현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 이전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