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식량자급률 목표치 설정 및 자급률 제고방안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6-11)
    저자
    성명환 , 우병준; 황윤재; 최종우; 이동소; 손미연; 문현경
    등록일
    2016.03.30
  • 최근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대내외적 여건이 변하면서 국내 식량수급 환경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FTA 확대 등 시장개방이 가속화함에 따라 식량 수입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소비자의 식생활 소비 패턴마저 변화함에 따라 국내 식량 생산기반이 약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량자급률은 1975년에는 73% 수준에 이르렀으나 2015년에는 24%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식량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적정수준의 식량자급률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한 이유이다. 「농어업...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식품 소비량 목표 설정
      제3장 품목별 기존 자급률 목표치 평가와 전망
      제4장 주요국의 식량자급률 목표 설정 사례
      제5장 자급률 제고를 위한 답리작 활용 실태 및 추진 과제
      제6장 정책 추진 과제

    요약문

    최근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대내외적 여건이 변하면서 국내 식량수급 환경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FTA 확대 등 시장개방이 가속화함에 따라 식량 수입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소비자의 식생활 소비 패턴마저 변화함에 따라 국내 식량 생산기반이 약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량자급률은 1975년에는 73% 수준에 이르렀으나 2015년에는 24%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식량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적정수준의 식량자급률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한 이유이다.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기본법」은 5년마다 식량자급률 등 자급목표를 설정하고,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011년에 설정된 기존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평가하고 새롭게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곡물수급 상황, 국내 식량수급 여건 변화 등을 고려하여 국민 영양균형 실현을 위한 바람직한 식량 소비 및 공급 목표를 수립하고 품목별 자급률 분석을 통해 중장기 식량자급률 목표치 수준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식량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과 자급률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에 대한 문의는 학술정보팀으로 연락주세요. (061-820-2282,2215)]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성명환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7297 0 0 6 3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이순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황의식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3/3차연도)
      김태곤
      201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KREI
      2017.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김정섭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김정섭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김정섭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송미령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정호
      201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귀농·귀촌 정책 및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향: 귀농·귀촌 정책 연구 포럼 1차 토론회 자료집
  • 이전글 국민경제를 고려한 미래 축산정책 개선방안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