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8-39)
    저자
    정정길 , 유찬희;임채환
    등록일
    2018.12.30
  • 최근 들어 중국 IT기업들이 자사가 보유한 기술과 노하우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농업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소득증대에 따른 농촌주민의 구매력 증대, 농식품 소비시장 확대, 스마트 농업 발전, IT 산업의 내부 경쟁 심화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으로는 삼농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IT기업과 같은 비농업부문과의 협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중국의 농업계는 자본, 기술력, 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의 참여를 통한 농업․농촌분야 발전 동력의 확대...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중국 기업의 농업 참여 현황
      제3장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현황
      제4장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사례분석
      제5장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관련 중국 정부의 지원정책
      제6장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최근 들어 중국 IT기업들이 자사가 보유한 기술과 노하우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농업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소득증대에 따른 농촌주민의 구매력 증대, 농식품 소비시장 확대, 스마트 농업 발전, IT 산업의 내부 경쟁 심화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으로는 삼농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IT기업과 같은 비농업부문과의 협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중국의 농업계는 자본, 기술력, 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의 참여를 통한 농업․농촌분야 발전 동력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농업발전 과정에서 기업의 역할을 파악하고, 최근 중국 기업의 농업부문 참여 방식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알리바바(阿里巴巴), 왕이웨이양(網易味央), 징둥(京东) 등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접근하여 농업부문에 진출한 중국 IT기업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농업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모델을 발굴하고 국내 농업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정정길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9257 0 0 1 0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이순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황의식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3/3차연도)
      김태곤
      201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KREI
      2017.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김정섭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김정섭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김정섭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송미령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정호
      201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친환경농업 정책성과평가와 패러다임 전환 연구
  • 이전글 PLAN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UKRAINE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