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 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제 도입 방안 연구
  • 
						    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제 도입 방안 연구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8-37)
    저자
    박기환 , 서홍석; 신성철
    등록일
    2018.12.30
  • 김치는 수백 년 동안 전해 내려온 우리의 전통식품이자 주요한 농식품 수출품목이며, 김장이라는 고유문화유산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등 대한민국이 김치의 종주국으로서 높은 자긍심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김치 소비량은 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산 김치 수입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무역역조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또한, 김치 수출대상국에서 외국산이 한국산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사례가 빈번하며, 국내에서도 외국산이 국산 김치로 판매되어 원산지표시 위반 적발 실적이 매년...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김치산업 동향과 최근의 위상 평가
      제3장 김치의 위상 재정립을 위한 국가명 지리적표시제도 도입 검토
      제4장 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 등록 신청 계획서(안)
      제5장 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제 도입을 위한 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김치는 수백 년 동안 전해 내려온 우리의 전통식품이자 주요한 농식품 수출품목이며, 김장이라는 고유문화유산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등 대한민국이 김치의 종주국으로서 높은 자긍심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김치 소비량은 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산 김치 수입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무역역조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또한, 김치 수출대상국에서 외국산이 한국산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사례가 빈번하며, 국내에서도 외국산이 국산 김치로 판매되어 원산지표시 위반 적발 실적이 매년 1천여 건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김치가 종주국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무역역조 심화 현상의 완화와 해외에서 외국산이 한국산으로 둔갑되는 불법행위 근절, 국내 김치 주재료의 자급률 향상을 위한 국산 이용률 제고 등을 위해서는 ‘대한민국 김치 지리적표시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김치 국가명 지리적표시제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국내외 유사한 사례와 도입 효과 분석을 통해 적용 법령 및 지리적표시 신청계획서(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자에게 문의

    박기환 이미지

    저자소개
    박기환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식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63655 4 0 9 2
    •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송우진
      2024.02.29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임업분야 적용 및 발전방향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임업분야 적용 및 발전방향
      석현덕
      2017.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분야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현황과 확대 방안

      농업·농촌 분야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현황과 확대 방안
      김병률
      2018.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가치평가 : 지속가능한 축산 사례 중심으로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가치평가 : 지속가능한 축산 사례 중심으로
      김수석
      2018.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태양광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농촌 태양광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김연중
      2018.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김병률
      2017.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유찬희
      2020.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국승용
      2020.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외식업 경영여건 및 성과요인 분석과 시사점

      외식업 경영여건 및 성과요인 분석과 시사점
      김경필
      2018.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