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7-70)
    저자
    전창곤 , 박성진; 김동훈; 정승관
    등록일
    2017.10.30
  • 우리나라 전통주산업은 역사적‧문화적 자산으로서 다양하고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부는 전통주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전체 주류산업에서 차지하고 있는 전통주의 시장점유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산업성장률도 상대적으로 낮아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한편 전통주 관련 R&D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소 및 국가기관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시장적용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전통주산업은 제조‧유통‧소비‧제도‧홍보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당면과제를 지니고 있다....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전통주산업 및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전통주 관련 R&D 현황
      제4장 전통주산업의 진단과 발전 전략
      제5장 우리 술 연구소 설립 및 운영방향
      제6장 우리 술 연구소 설립 기본계획
      제7장 우리 술 연구소 건설‧운영의 경제성 분석

    요약문

    우리나라 전통주산업은 역사적‧문화적 자산으로서 다양하고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부는 전통주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전체 주류산업에서 차지하고 있는 전통주의 시장점유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산업성장률도 상대적으로 낮아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한편 전통주 관련 R&D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소 및 국가기관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시장적용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전통주산업은 제조‧유통‧소비‧제도‧홍보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당면과제를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 전통주 관련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우리 술 연구소(가칭)’의 설립 및 운영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통주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리 술 연구소’ 설립‧운영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영양군 내에 기 조성된 ‘음식디미방’ 문화관광자원화사업과의 연계 전략을 마련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전창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8181 0 0 6 2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라오스 쌍통군 농촌개발 및 영농기술센터 지원사업 사후평가

      라오스 쌍통군 농촌개발 및 영농기술센터 지원사업 사후평가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경제 제45권 제2호

      농촌경제 제45권 제2호
      KREI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정문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재료산업과 연계한 한식산업 발전 방안

      식재료산업과 연계한 한식산업 발전 방안
      황윤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개발도상국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농업 ODA 사업 개선 방안

      개발도상국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농업 ODA 사업 개선 방안
      이효정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로컬푸드 확대 효과 분석 연구

      로컬푸드 확대 효과 분석 연구
      황윤재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년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 사업보고서

      2020년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 사업보고서
      이용선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품산업정보포럼 운영 및 웹진 실적 보고서

      식품산업정보포럼 운영 및 웹진 실적 보고서
      이용선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황윤재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실태와 개선과제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실태와 개선과제
      황윤재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5/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5/5차년도)
      성주인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성주인
      2018.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시 근교 및 도농복합지역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도시 근교 및 도농복합지역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도서·어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도서·어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 및 원격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일반 및 원격 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적용 실태와 과제 : 대체축산식품과 3D 식품 프린팅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적용 실태와 과제 : 대체축산식품과 3D 식품 프린팅을 중심으로
      박미성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3/5차년도)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3/5차년도)
      박시현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박시현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요약보고서
  • 이전글 농업부문 공공 R&D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수요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