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종자산업통계 체계 구축 사업
  • 
						    종자산업통계 체계 구축 사업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8-20)
    저자
    박기환 , 윤종열; 이계임; 강두현
    등록일
    2018.06.30
  • 전 세계적으로 종자산업은 의약‧재료산업과의 융복합산업화 및 나노기술 접목 등 첨단 생명과학기술산업으로 정착 중에 있으며, 세계 종자시장규모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종자산업은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에 불과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대부분 영세한 종자업체 중심의 구조로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육묘업은 관련 법률 개정으로 제도권화되었으나, 실태 파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종자산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도약하고, 육묘업...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해외 종자산업 관련 통계 현황
      제3장 2016년 기준 종자업 실태조사 결과 분석
      제4장 2016년 기준 육묘업 실태 시험조사 결과 분석
      제5장 차년도(2017년 기준) 종자업 및 육묘업 실태조사 설계
      제6장 종자산업통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전 세계적으로 종자산업은 의약‧재료산업과의 융복합산업화 및 나노기술 접목 등 첨단 생명과학기술산업으로 정착 중에 있으며, 세계 종자시장규모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종자산업은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에 불과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대부분 영세한 종자업체 중심의 구조로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육묘업은 관련 법률 개정으로 제도권화되었으나, 실태 파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종자산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도약하고, 육묘업의 제도권화 정착과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써 정확한 통계 데이터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종자산업의 기초적인 통계 기반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실태조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정부와 업계나 학계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자에게 문의

    박기환 이미지

    저자소개
    박기환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식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6256 1 0 9 3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이순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황의식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3/3차연도)
      김태곤
      201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KREI
      2017.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김정섭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김정섭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김정섭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송미령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정호
      201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뉴질랜드의 농업과 교역동향
  • 이전글 연차보고서 2017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