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주요 단기임산물의 자연재해 복구비용 산정을 위한 조사기법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민경택 , 조병철
    등록일
    2012.12.31
  • 이 연구는 자연재해 복구비용을 보다 현실에 가깝게 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임산물 생산을 위한 종자·종묘와 비료에 대하여 실거래 가격을 조사하여 자연재해 복구비용 지원단가를 현실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이재민 지원을 위한 임가단위 피해율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우리나라 자연재해 발생 현황
      제3장 현행 자연재해 복구지원 체계
      제4장 현행 임산물 자연재해 복구비용 단가의 문제점
      제5장 임산물 자연재해 복구비용 단가 재산정
      제6장 임산물 자연재해 피해율 산정
      제7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이 연구는 자연재해 복구비용을 보다 현실에 가깝게 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임산물 생산을 위한 종자·종묘와 비료에 대하여 실거래 가격을 조사하여 자연재해 복구비용 지원단가를 현실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이재민 지원을 위한 임가단위 피해율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frequent natural disaster like typhoon, drought, and so on, the forestry production and farmer's income are getting unstable. To restore the production base for farmers after natural disaster, government has subsidized the recovery cost including seed and fertilizer cost. But the gap between the government subsidy and actual recovery cost is large. Farmers' dissatisfactions to the subsidy have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re was increasing need to estimate the recovery cost and to establish the criteria to decide the damage rate.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farmers have little experience to get the recovery subsidy after natural disasters and have lots of complaints about the low recovery subsidy. This is because farmers look on the recovery subsidy as the compensation to the damage. Government has to correct the recognition of farmers about the recovery subsidy.
    The recovery costs for short-term forest products are recalculated using the actual prices of seeds and fertilizers at the market, and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covery cost proposed by govern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the large gap between the reestimated recovery cost and the existing recovery cost. The gap depresses the recovery will of the farmers and destabilize the farmers' livelihood. Therefore the recovery cost should be raised with actual recovery costs.
    To carry out the relief of victims of a disaster, the unit damage rate of the individual farmer should be estimated. But the estimation criteria are not exist. The damage rate estimation method and criteria for standing wood, lawn grass and ornamental tree are provided. But for the fruit, nut and medicinal plants it is suggested to use the existing estimation criteria.


    Researchers: Kyung-Taek Min, Byung-Cheol Cho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12.
    E-mail address: minkt@krei.re.kr

    저자에게 문의

    민경택 이미지

    저자소개
    민경택 (Min, Kyungtaek)
    - 연구위원
    - 소속 : 산림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0188 0 0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