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연구: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을 중심으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이계임 , 황윤재; 김동원; 반현정; 박인호
    등록일
    2013.03.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2000년대 후반에 식품소비 통계조사 관련 규정이 법률에 명시되었으나, 식품소비 관련 정부승인통계는 지출액 조사 이외에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식품소비행태 전반을 대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대상 식품의 분류와 조사항목도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식품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크게 불충분하다. 사회적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소비행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동태적 분석을 통해 생산 및 정책 개발 시 유용한 분석기반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표성 있는 식품소비조사 표본을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조사·분석이 필...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식품소비 관련 조사 및 연구 현황
      제3장 외국의 식품소비 관련 조사현황과 시사점
      제4장 소비자 조사항목 구성
      제5장 식품소비행태 조사방법 구상
      제6장 식품소비행태조사 추진계획

    요약문

    2000년대 후반에 식품소비 통계조사 관련 규정이 법률에 명시되었으나, 식품소비 관련 정부승인통계는 지출액 조사 이외에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식품소비행태 전반을 대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대상 식품의 분류와 조사항목도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식품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크게 불충분하다. 사회적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소비행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동태적 분석을 통해 생산 및 정책 개발 시 유용한 분석기반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표성 있는 식품소비조사 표본을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조사·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2013년도부터 시행될 식품소비행태조사 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조사문항 및 조사방법 등에 대해 사전적으로 검토하고, 조사추진계획을 수립하고자 추진되었다. 식품소비행태 조사항목과 조사방법이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확정되었으며, 식품소비행태조사의 기본 추진계획이 제시되었다.

    Background of Research
    To read a fast changing food consumption behavior trend, laws on statistical food consumption researches were enacted in the late 2000s, but in practice, the government approved statistical researches on food consumption have been mainly conducted around food expense survey, while other statistical researches to figure out the overall food consumption behaviors remain insufficient.
    General understanding of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to food production and policy making are conditional on regular research using representative samples.

    Method of Research
    Food consumption survey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domestic, international relevant institutions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To examine the food consumption survey methods, analysis of the model, research questions, such as expert meetings were held on 9th. Want to access the food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disciplines to the field of Marketing, consumer economics, sample design experts, the manuscript was commissioned. An food expert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survey questionnaire and survey methods. Consumer survey conducted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configure the optimal survey.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objective of the survey on food consumption behavior is providing the data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as a food supplying industry and make more consumers satisfied with their food consump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represents the up-to-date food consumption trend, the research adopts various investigation and analytical methods to identify consumer needs and uses the reliable statistical survey system. Survey results is also the applicable to as many occasions as possible.
    The survey questions were designed to figure out latest food consumption trend and mainly deal with consumer perception toward daily diet, food purchase and consumption practices, consumer attributes, eating-out behaviors, satisfaction level for current diet, dietary education, and key policy issues. The survey is divided into a household section and an individual section.
    As sampling method, the repeated survey method is concluded as the most appropriate. For sampling, the 2010 census data will be referenced to select key regions as sample areas and be applied with the multi-stage sampling method. Annual survey of 3,000 households and their members by Face-to-fac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validated statistical data before writing a basic analytical report and applied with various statistics analytical methods and consumption models to produce in-depth reports every three to five years. An academic convention will be hel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nd promoting food consumption behavior research.
    To be complemented by quantitative researches, it was suggested to organize the 'Trend Monitor' Group and the 'Trend Advisory' Group.
    The research on food consumption behavior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ood policy making of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analysis.


    Researcher(s): Kyei-Im Lee, Yun-Jae Hwang, Dong-Weon Kim, Hyun-Jung Ban, In-Ho Park
    Research Period: 2012. 8. ∼ 2013. 3.
    E-mail address: lkilki@krei.re.kr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계임 (Lee, Kyeiim)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식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계임 (Lee, Kyeiim)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식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9505 1 48 0 2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