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세미나/토론회 자료

세미나/토론회 자료

제4유형
  • 2010∼2011 구제역 백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정호 , 허덕; 정민국; 우병준; 김창호
    등록일
    2011.11.30
  • 이 백서(白書, whitepaper)는 2010년 1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대하여 그 배경과 원인, 발생 상황과 방역 추진, 피해 보상, 매몰지 사후관리 등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정리하고, 특히 구제역의 확산과 피해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앞으로의 재발 방지 및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구제역의 정의와 질병 특성, 가축전염병의 인체 영향 등을 서술하고, 제2절에서 외국의 구제역 발생 동향과 대응 사례를 정리하였다. 제2장은 2010년...

  • 목차

    요약문

    이 백서(白書, whitepaper)는 2010년 1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대하여 그 배경과 원인, 발생 상황과 방역 추진, 피해 보상, 매몰지 사후관리 등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정리하고, 특히 구제역의 확산과 피해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앞으로의 재발 방지 및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구제역의 정의와 질병 특성, 가축전염병의 인체 영향 등을 서술하고, 제2절에서 외국의 구제역 발생 동향과 대응 사례를 정리하였다. 제2장은 2010년 11월에 안동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된 경과에 대해 지역별 전파 경로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정부의 구제역 방역 추진 사항에 대하여 방역 추진체계, 구제역의 진단과 예찰 활동, 가축 이동제한 및 차단 방역, 구제역 백신 접종, 살처분 및 매몰지 관리, 구제역의 방역 홍보, 방역조치 해제 등을 정리하였다. 제4장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의 방역 활동에 대하여, 그리고 제5장은 축산물 수급안정 및 피해 보상 실적을 정리하였다. 제6장에서는 종합 평가 및 정책 과제로서, 구제역의 사회·경제적 파급 영향, 구제역 발생과 대처과정에 대한 종합 평가, 구제역 사태 이후의 방역체계 개선, 축산업 선진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부록에는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인용하지 못한 문건들을 정리하여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게재하였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은 발주처인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바로가기)에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저자에게 문의

    김정호 이미지

    저자소개
    김정호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시니어이코노미스트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6828 0 0 13 4
    • 
														    중국의 식품산업 정책 및 소비 트렌드

      중국의 식품산업 정책 및 소비 트렌드
      중국사무소
      2023.12.05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2023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2023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KREI
      2023.12.01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농산물 유통의 미래와 과제 심포지엄

      농산물 유통의 미래와 과제 심포지엄
      KREI
      2023.09.12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Activation Strategies of Agriculture to Reduce Fine Dust and Odor

      Activation Strategies of Agriculture to Reduce Fine Dust and Odor
      KREI
      2023.08.30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안심 먹거리, 지속 가능한 식량 안보 : 제4회 KREI 릴레이 세미나

      안심 먹거리, 지속 가능한 식량 안보 : 제4회 KREI 릴레이 세미나
      KREI
      2023.08.09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인구감소와 기후변화 대응 방안 : 제5회 KREI 릴레이 세미나

      인구감소와 기후변화 대응 방안 : 제5회 KREI 릴레이 세미나
      KREI
      2023.08.09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농산업 미래성장 산업화를 위한 혁신 : 제2회 KREI 릴레이 세미나

      농산업 미래성장 산업화를 위한 혁신 : 제2회 KREI 릴레이 세미나
      KREI
      2023.08.08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글로벌 환경변화와 한국 농정 미래방향 : 제3회 KREI 릴레이 세미나

      글로벌 환경변화와 한국 농정 미래방향 : 제3회 KREI 릴레이 세미나
      KREI
      2023.08.08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건전한 반려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 제1회 KREI 릴레이 세미나

      건전한 반려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 제1회 KREI 릴레이 세미나
      KREI
      2023.07.19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2023년 중앙1호문건과 중국 농업농촌경제 전망

      2023년 중앙1호문건과 중국 농업농촌경제 전망
      중국사무소
      2023.05.09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인삼수출 확대 방안 모색을 위한 대토론회
      KREI
      2017.10.19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아세안 FTA 발효 10년, 농산물 교역 회고와 전망
      KREI
      2017.11.28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2017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2017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KREI
      2017.12.22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농업 부문에서의 기술협력: 역할과 성과, 개선방향- 제16회 국제농업파트너십포럼

      농업 부문에서의 기술협력: 역할과 성과, 개선방향- 제16회 국제농업파트너십포럼
      KREI
      2017.12.22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립기상과학원 정책연구협의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립기상과학원 정책연구협의회
      KREI
      2018.04.24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활용방안 심포지엄
      KREI
      2017.11.28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신재생에너지 농업부문 이용 확대 방안
      KREI
      2017.11.17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21th 농어촌지역 정책포럼 자료집
      KREI
      2017.11.23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고령친화식품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KREI
      2017.11.07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의 경제적 평가
      KREI
      2017.11.06
      KREI 세미나자료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