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한·미 FTA 농업부문 영향의 지역별·산업별 파급효과 분석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안동환 , 임정빈; 최애선
    등록일
    2009.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농업대국인 미국과의 FTA 체결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이 이루어져 왔지만, 지역의 상이한 생산구조 등을 고려한 지역단위 파급영향의 분석은 미미하였다. 정부에서 FTA 후속 대책으로 소득보전직불제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사업 시행의 주체인 지방정부의 입장에서 보다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내 파급영향에 대한 정보가 더욱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의 파급액과 그에 따른 산업별·지역별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

  • 목차

    • 1. 서론
      2. 분석모형 및 자료
      3. 지역별 산업별 파급효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농업대국인 미국과의 FTA 체결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이 이루어져 왔지만, 지역의 상이한 생산구조 등을 고려한 지역단위 파급영향의 분석은 미미하였다. 정부에서 FTA 후속 대책으로 소득보전직불제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사업 시행의 주체인 지방정부의 입장에서 보다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내 파급영향에 대한 정보가 더욱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의 파급액과 그에 따른 산업별·지역별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2007년 4월 공식 타결된 한?미 FTA의 협상결과에 따른 농업부문의 파급영향을 수입확대에 따른 국내 농업생산액 감소와 국내농산물 가격하락에 따른 소비지출 증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한?미 FTA체결의 긍정적 파급효과와 부정적 파급효과를 고려한 순파급효과는 이행 10년차에 2조 5,635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산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 부문이 12,978억 원으로 가장 크며, 다음은 제조업으로 7,814억 원, 도매 및 소매업이 927억 원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입개방의 피해규모가 큰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와 제주 등 제주 지역의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수도권의 화성, 이천, 안성, 평택, 용인, 그리고 충청권의 천안, 아산, 홍성 등이 순파급효과 규모 상위 10개 시군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부분은 수입개방의 규모가 큰 감귤, 축산 등의 비중이 높거나 경지면적이 큰 지역이지만, 천안과 아산의 경우 농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은 지역으로서 순파급효과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이는 수입개방에 따른 농업부문 생산감소의 피해에 따른 비농업부문으로의 파급효과가 지역경제권의 중심지로서 제조업이나 도소매업의 비중이 높은 이들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입개방에 따른 농업생산 감소피해가 지역경제의 중심지 기능을 하는 도시부문으로 파급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지역의 대책 및 지역경제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순파급효과의 규모를 산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 부문의 경우 파급효과가 큰 지역은 서귀포, 제주, 홍성, 이천, 안성 등이며, 제조업의 경우 천안, 화성, 광산구, 안산, 아산 등으로 나타났다. 도매 및 소매업의 경우 강남구, 중구(서울), 서초구, 영등포구, 종로구, 송파구 등 서울과 수도권 지역이 상위 10개 지역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첫째, 다지역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지역별 생산기술의 차이와 지역간 거래를 고려한 파급효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둘째, 한?미 FTA의 파급효과 분석에 있어서, 농업생산 감소라는 부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국내농산물 가격하락에 따른 실질소득 증가 효과를 모두 고려하였다. 셋째, 공간배분모형의 적용을 통해 산업부문별 파급효과의 지역별(시?군?구) 배분을 시도하였다. 특히 다지역투입산출모형과 공간배분모형의 결합을 통한 지역별 파급효과의 분석은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물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 중 하나에서 제시된 한?미 FTA 이행에 따른 농업부문의 생산감소 피해액 추정치를 이용하고 있지만, 생산액 감소의 크기는 추정 방식과 향후 국내 농업부문의 대응 방식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점들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우선 분석 방법 측면에서 직접효과가 지역별로 주어지지 않을 경우와 간접효과의 공간배분 방법의 개선 문제이다. 또한 간접효과의 경우에도 재배면적이나 고용비중만을 고려할 경우 지역간 생산성이나 생산기술의 차이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지역별 재배면적이나 산업별 고용을 기준으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배분하는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농산물 수입개방의 산업별 파급효과 분석에만 국한하고 있어 향후 농업관련산업에 초점을 둔 파급효과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농업투입재산업이나 농식품가공산업 등에 대한 대책 마련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한미 FTA가 다른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농업부문의 파급영향을 산업연관모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전체적인 농업부문의 파급형향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analyzed spatial and inter-industrial effects resulting from the impacts of the Korea-US FTA on Korean agricultural sector. We combined a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 with a spatial allocation model based on a Garin-Lowry type spatial interaction model. W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for 232 local jurisdictions in Korea by 15 industrial sectors.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inter-industrial ripple effects resulting from the impacts of Korea-US FTA on the agricultural sector. We also foun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inter-industrial impacts are quite different across regions. While the direct effects (i.e. agricultural production losses) tend to concentrate on rural areas, the indirect and induced effects (i.e. inter-industrial ripple effects) tend to concentrate on central urban areas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안동환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안동환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4066 0 66 0 0
    •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김우석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김덕파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전무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김민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은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이현근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남경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문동현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조용빈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기후변화가 국내 목재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이전글 농산물 가격전달의 비대칭성에 관한 실증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