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농외소득의 실태와 정책방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오내원 , 김은순
    등록일
    2001.06.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1. 머리말
      2. 농가소득의 동향과 문제
      3. 농외소득정책의 평가
      4.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정책방향

    • With the market liberalization and economic setback, agricultural income is
      being reduced. Besides, with the shrink of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rporations in rural areas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non-farm
      income is also getting smaller.
      As a consequence, the average income of farm households is only 80.6% of that
      of urban households. Those conditions that have brought the income shrinkage are
      believed to continue for some time.
      This study explain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non-farm income
      as a solution for the income problem, and proposes som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non-farm income sources.
      Particular emphasis is put on the rural area revitalization program which
      combines the "Green Tourism," utilizing amenable rural landscapes, traditional
      cultures, and direct farming experiences.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오내원 (Oh, Naewo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9996 0 27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공단지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향
  • 이전글 패널자료 분석방법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