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시장은 닷새나 열흘 주기로 정해진 날에 정해진 장소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 농수산물이나 일용품을 거래하는 공간이다. 또한 정기시장은 정보 교환이나 교제 등을 통한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며 문화를 전수하거나 기분전환이나 오락적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정기시장은 1970년경 1,000개소 수준까지 증가한 바 있으나, 그 이후 감소 추세로 바뀌었다. 1970년대 이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도시화와 인구 고령화, 교통 및 정보통신 발달, 금융서비스 증가, 농업생산 전문화와 유통근대화 등 ...
정기시장은 닷새나 열흘 주기로 정해진 날에 정해진 장소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 농수산물이나 일용품을 거래하는 공간이다. 또한 정기시장은 정보 교환이나 교제 등을 통한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며 문화를 전수하거나 기분전환이나 오락적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정기시장은 1970년경 1,000개소 수준까지 증가한 바 있으나, 그 이후 감소 추세로 바뀌었다. 1970년대 이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도시화와 인구 고령화, 교통 및 정보통신 발달, 금융서비스 증가, 농업생산 전문화와 유통근대화 등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제사회적 변화는 정기시장의 모습을 크게 변화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기시장에 관한 포괄적인 보고서에는 1977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전신인 국립농업경제연구소에서 발간한 ‘한국 농촌시장의 제도와 기능 연구’가 있다. 김성훈 박사가 책임을 맡은 이 보고서는 한국의 농촌정기시장에 관한 센서스조사에 기초한 종합연구서의 성격을 지닌다. 또한 동 보고서는 1941년 문정창 선생의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종합적 연구서인 ‘조선의 시장’의 대를 잇는 의미가 있었다. 김성훈 박사의 보고서가 발간된 이후 3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정기시장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연구사적인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2008년 개원 30주년을 맞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역점을 두고 추진한 사업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국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1970년대 이후 정기시장 구조와 기능상의 변화 실태와 유형, 그리고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울러 이 연구를 통해 미래 정기시장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였으며 정기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52190 | 0 | 53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