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농업총조사 통계에 의한 지역농업의 역량 분석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정호 , 이병훈
    등록일
    2005.05.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ㅇ 이 연구는 농업총조사를 분석하여 지역농업의 역량을 계량화하고 나아가 지역농업의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 및 관련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농업의 역량 분석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규정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후속 연구 및 지방농정의 추진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ㅇ 지역별 농업총생산액(GRDP)은 지역농업의 규모와 역량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임에도 현재는 시?도별 통계수치가 발표되는 정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도별 통계에 시군별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는 가정 ...

  • 목차

    • 제1장 지역농업 분석의 필요성과 의의 1
      1. 왜 지역농업인가? 1
      2. 지역농업 역량분석의 의의 3
      제2장 지역농업 총생산액의 추정 5
      1. 지역농업 총생산액의 추계 방법 5
      2. 시군별 농업총생산액의 추정 결과 9
      제3장 지역농업의 역량 지표와 요인 분석 21
      1. 지역농업 관련지표 선정 21
      2. 지역농업 역량지표의 주성분분석 23
      제4장 지역농업 역량의 종합지표 개발 32
      1. 지역농업 역량 지표의 표준화 32
      2. 지역농업 역량의 종합지표 산출 45
      3. 지역농업 역량지수의 시군별 유형화 48
      부 표 51
      참고문헌 87

    요약문

    ㅇ 이 연구는 농업총조사를 분석하여 지역농업의 역량을 계량화하고 나아가 지역농업의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 및 관련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농업의 역량 분석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규정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후속 연구 및 지방농정의 추진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ㅇ 지역별 농업총생산액(GRDP)은 지역농업의 규모와 역량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임에도 현재는 시?도별 통계수치가 발표되는 정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도별 통계에 시군별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시도별 농업총생산액을 시군의 경지면적, 농가수, 종사자수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으로 농업총생산액을 추정하였다.
    ㅇ 시군별 농업총생산액의 상위 10위를 정리하면 당진군, 김제시, 화성군, 익산시, 서산시, 정읍시, 논산시, 북제주군, 평택시, 상주시 등의 순이다. 한편, 1990~2000년간 농업총생산액의 변화를 보면 해남군, 북제주군, 남제주군, 당진군, 강화군, 서산시, 영암군 등은 총생산액도 많고 성장하는 지역이며, 김제시, 나주시, 화성군, 상주시, 의성군, 경주시 등은 총생산액은 크지만 쇠퇴하는 지역에 해당한다.
    ㅇ 지역농업의 역량 분석을 위하여 통계청 지역계정 및 농업총조사 자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지표로서 규모 지표, 성과 지표, 능률 지표를 선정하였다. 규모 지표(scale index)는 생산 기반, 노동력 구조 등 생산력 규모를 반영하고, 성과 지표(performance index)는 호당 생산능력, 토지이용 구조, 지역집중도 등을 반영하며, 능률 지표(efficiency index)는 요소 생산성 및 집약도 등의 효율성을 반영하고 있다.
    ㅇ 지역농업 역량과 관련된 지표들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농업총조사에서 이용가능한 31개 변수를 가지고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각 시군별 주성분 점수를 계산한 결과, 제1주성분(농업규모)의 특성이 강한 지역은 상주시, 경주시, 당진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제2주성분(경영 효율성)이 강한 지역은 평택시, 이천시, 제주시 등이고, 제3주성분(대농경영)이 강한 지역은 태백시, 철원군, 평창군 등의 순이다.
    ㅇ 지역농업 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에 대한 상대적인 수준을 시군별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점수(Standardization Indexation)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규모·성과·능률을 나타내는 세부 항목을 검토한 다음 이 중에서 중요한 지표를 선정하여 각각의 지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종합지수를 도출하였다.
    ㅇ 지역농업 역량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부문별 지수인 규모지수, 성과지수, 능률지수를 산출하였다. 규모지수 상위 5위의 지역은 상주시, 경주시, 화성군, 당진군, 익산시 등이고, 성과지수 상위 5위의 지역은 고창군, 안동시, 정읍시, 당진군, 해남군 등이며, 능률지수 상위 5위의 지역은 남해군, 기장군, 하남시, 거제시, 고령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ㅇ 최종적으로 규모지수, 성과지수, 능률지수를 통합하는 지역농업 역량 종합지수(Total Capability Aggregation Index)를 산출하였다. 종합지수의 상위 10위 지역은 안동시, 당진군, 고창군, 화성군, 정읍시, 해남군, 경주시, 의성군, 상주시, 나주시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저자에게 문의

    김정호 이미지

    저자소개
    김정호 (Kim, Jeongho)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시니어이코노미스트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7008 0 111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 다음글 축산물 생산 유통의 Traceability System 구축방안 연구
  • 이전글 KREI 북한농업동향 제7권 제1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