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DDA 및 쌀 재협상과 쌀 수매·소득정책의 선택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토의자료(W) (W021)
    저자
    김명환 , 박동규; 서진교; 이병훈
    등록일
    2003.07.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 1960년대 이후 쌀 정책은 수매제도와 생산·가공지원시책을 두 개의 축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 쌀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수입 확대와 농가소득 감소에 대응하기 위하여 논농업직불제와 소득보전직불제가 도입되었다.
    ○ 2003년 현재 진행 중에 있는 DDA(Doha Development Agenda) 농업협상은 향후 쌀 농가소득 뿐만 아니라, 정책수단의 선택에도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04년에 예정되어있는 쌀관세화유예연장협상(이하 쌀재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

  • 목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1
      Ⅱ. DDA 농업협상과 2004년 쌀재협상
      1. DDA 농업협상 일정 2
      2. DDA 농업협상 의장초안(2003. 3) 검토 3
      3. DDA 농업협상 전망 6
      4. 2004년 쌀재협상의 성격 7
      5. 관세화와 관세화유예간의 동등성 9
      6. 협상대책 11
      Ⅲ. 시장개방 시나리오별 쌀 농가소득 전망
      1. 관세화되어 선진국조건으로 시장개방할 경우의 쌀 소득 15
      2. 개도국지위가 유지될 경우의 쌀 소득 16
      3. 관세화유예가 연장될 경우의 쌀 소득 16
      4. 추가적인 시장개방이 없을 경우의 쌀 소득 17
      Ⅳ. 정책제안 1: 약정수매제의 공공비축제 전환
      1. 정부수매의 소득효과 19
      2. 수매 가능물량 전망 20
      3. 수매에 의한 소득지지 전망 21
      4. 약정수매제의 공공비축제 전환 23
      Ⅴ. 정책제안 2: 소득지지직불 강화
      1. 벼 재배농가의 계층구조변화 25
      2. 목표소득지지제 도입 26
      Ⅵ. 요약

    요약문

    ○ 1960년대 이후 쌀 정책은 수매제도와 생산·가공지원시책을 두 개의 축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 쌀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수입 확대와 농가소득 감소에 대응하기 위하여 논농업직불제와 소득보전직불제가 도입되었다.
    ○ 2003년 현재 진행 중에 있는 DDA(Doha Development Agenda) 농업협상은 향후 쌀 농가소득 뿐만 아니라, 정책수단의 선택에도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04년에 예정되어있는 쌀관세화유예연장협상(이하 쌀재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DDA 및 쌀재협상 결과에 따라 나타나게 될 급격한 상황 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벼농업을 안정시키고, 벼 재배농가의 소득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명환 (Kim, Myung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6500 0 18 0 0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
      2024.06.21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미곡종합처리장사업 성과 평가
  • 이전글 농기계임대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