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친환경농축산업 육성정책의 평가와 발전방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창길 , 오세익; 김태영
    등록일
    2003.03.01
  • 목차




    •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목적 3
      3. 선행연구 검토3
      4.
      연구방법 및 범위 5
      제 2 장 친환경농업 정책평가의 이론
      1. 정책평가의
      개념 및 종류6
      2. 정책평가의 기준9
      3. 친환경농업 정책평가의 기본
      틀11
      4. 평가대상 정책 프로그램의 선정 14
      제 3
      장 친환경농업의 육성 실태
      1.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규모17
      2.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현황20
      3.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유통의
      문제점28
      제 4 장 친환경농업정책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1. 친환경농업정책 평가방법29
      2. 친환경농업정책의
      평가결과34
      제 5 장 주요국의 친환경농업정책
      1.
      유럽연합68
      2. 덴마크71
      3. 독일77
      4.
      프랑스82
      5. 미국89
      제 6 장 친환경농업정책의 발전방안
      1. 새로운 정책방안
      모색의 기본방향95
      2. 친환경농업 정책프로그램의 개선방안99
      3. WTO 체제하
      새로운 정책 프로그램의 개발106
      4. 효과적인 정책수립 및 정책집행을 위한
      방안111
      제 7 장 요약 및 결론114
      참고문헌118
      부록 1. 조사표(정책담당자용)120
      부록 2. 조사표(정책대상자용)131
      요 약
      그동안 추진되어 온 친환경농업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분석을 기초로 친환경농업 정착을 위한 새로운
      정책방안을 제시함. 특히 WTO체제하 새로운 친환경농업정책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적인 정책수립 및 집행을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함.
      친환경농축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에 대한 총괄평가 결과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2001∼2005)]의 경우 정책목표에 대한 수정과 실효성 있는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 수립 및 계획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또한 대규모지구조성사업과 소규모지구조성사업은 통합하여 "지역단위 친환경농업지구조성사업(가칭)"으로 변경하여 추진하고,
      친환경농업마을조성사업은 그린 투어리즘과의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 정책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됨.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는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확산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책프로그램이므로 향후 전략적인
      차원에서 지원단가의 상향조정, 타직불제와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함.
      가축분뇨자원화사업은 지역단위 자연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함. 특히 경종과 축분부문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 현행 지역별 축분비료유통센터를 "지역순환농업지원센터(가칭)"로 개편하여 추진하고, 지원센터가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친환경농산물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인증시스템의 구축과 일반 관행농산물과 시장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직거래 체계와 전문물류센터 건립 등 새로운 유통시스템을 구축해야 함. 특히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이력추적 시스템(traceability system)의 도입도 적극 추진해야 함.
      새로운 친환경농업정책의 기본방향은 농업정책과 환경정책의 통합, 원칙을 기초로 한 실행프로그램 수립,
      현장에서 제시된 문제의 합리적 해결, 경종과 축산의 유기적인 연계 강화, 선진 프로그램의 벤치마킹, 효과적인 정책수립 및 집행을 위한 조직 개편
      등으로 설정함.
      통합적 접근의 원칙과 공동부담의 원칙을 기초로 한 환경친화적 상호준수 정책프로그램은 WTO 규정상
      허용대상 정책조치로 정부의 시장개입 폭이 축소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요한 농업정책 수단으로 활용해야 함. 환경친화적 상호준수 프로그램은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외에 덴마크, 프랑스, 미국 등 주요국의 사례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 추진토록 해야 함.
      친환경농업 정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원정책 외에도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투입재에 대해 오염자부담원칙을
      적용한 환경세 부과 또는 화학비료에 대한 가격보조금 폐지 등 시장지향적 정책수단의 도입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친환경농업정책 관련업무를 보다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행 식량생산국 친환경농업과의 업무분장 및
      조직을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함. 식량생산국 친환경농업과의 소관업무 가운데 실제로 현행 친환경농업 육성, 제도, 토양관리, 직불제 업무 외에
      식물검역, 기술개발 및 관리 등의 업무는 관련 타부서로 옮기고 타부서의 친환경농축산업 관련 업무(축산환경·비료·농약 부문 등)는 친환경농업과로
      이관토록 조직을 개편하는 것이 친환경농업 관련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친환경농업정책의 성과평가 및 사후관리를 위해 해당 정책 프로그램에 관한 D/B를 구축하고, 또한
      지역별로 대표적인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전국적으로 약 100여 농가)를 선정하여 정책추진에 대한 모니터링 및 보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농기장제를 실시하며, 이들 대표농가에는 여러 정책프로그램의 우선순위 및 인센티브 등을 부여함.
      친환경농업 정책 추진의 성공여부는 정책과 관련된 친환경농법 실천 농업인, 연구자, 정부,
      환경농업단체(NGOs) 등의 적절한 역할 분담 및 수행에 달려있으므로, 주체별 역할분담 및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함.
      친환경농업정책 정책프로그램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분석이 매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분석결과에서
      제시된 내용에 대해서는 유관기관 및 농업인들의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적절하게 정책에 반영시켜 나갈 때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정책은 더욱 발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친환경농업농업 시스템을 확고하게 정착시킬 수 있을 것임.

    • NGO`s activities can be legitimate because they are based on social
      phenomena and because NGO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ponding to social
      dysfunction. Also,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global governance shows the
      importance of NGO`s activities and the necessity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NGOs participate in the
      agricultural policy process and to depict what the desirable ways of their
      policy participation ar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real situations of policy participation of agriculture-related NGOs,
      we analyzed twenty eight agriculture-related NGO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nd compared them with data gained by analyzing
      fifty eight general NGOs located in Seoul; second, in order to evaluate the
      participation of agriculture-related NGOs in the policy process, we conducted
      questionnaire from interviewing NGOs` staffs and public officials and compared
      two groups.
      It is proved that the objective conditions of NGOs are not related to
      the positiveness or spontaneity of their activities. The positiveness and
      spontaneity of their activiti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the objective
      conditions, but to their intrinsic goals and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of NGO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is
      recognized by NGOs and policy authorities. NGO`s participation can make policy
      makers agricultural policies based on real fields and establish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Also, they have common opinion about NGO`s
      participation in setting up the fundamental plan like mid- and long-term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lan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advantages of NGO`s participation and the obstacles on the
      activation of NGO`s participation.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in the ways and modes of NGO`s
      participation. The modes and ways of participation have been diversified such as
      movement shifts from illegal riots to legal and formal participation of being a
      partner of formal committees and commissions. However, in general, the
      participation is still more formal. NGOs think that government policies have not
      reflected the voices of actual fields. Because government authority thinks that
      NGOs have stated their interest rather than the interests of the agricultural
      sector as a whole, they could not help having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related NGOs` voices. That is, public officials understand these phenomena as a
      sort of Nimb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NGOs` participation
      should be directed to setting up their substantial participation.
      It is very meaningful for government authorities to carry out
      cooperative projects with NGOs. Korean agriculture is not competitive as a
      whole. Only a few items have competitiveness. Rebuilding agricultural
      vitality depends upon the change of paradigm based on the new recogni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such as multi-functionality. The basic premise
      in building a new paradigm is that the protection of agriculture and government
      subsidy should be based on general people's consensus. NGOs are the most
      desirable organizations that try to pursue their goals without their own
      interest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 justice and public interest in
      order to gain people's consensus. Some projects that need public relations
      carried out by NGOs having integrity may be better than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aspect, existing policy response of policy authority may not be
      active. Although government authorities formalize NGO`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imely needs, their positive will has been positive in establishing
      a new paradigm for policy participation. They do not recognize the necessity and
      value of NGO`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agriculture based on the persuasion of people.
      The desirable way of civilian policy participation is that agricultural
      policy authority should recognize NGOs as policy partners and carry out
      agricultural projects substantially. The way of cooperation between NGOs and
      policy authorities should be different from issues and make sure the roles
      of NGOs and policy authority. Especially, NGOs carry out projects that need the
      consensus of people and public relations.
      There are some improvements in relationship between NGOs and policy
      authorities. First,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m should be expanded. Both
      sides should expand relationships and put lots of efforts to understand
      each other. Also, existing relationship of the provision of supports and the
      reception of benefits should be changed to the relationship of mutual
      cooperation. Second, the way of policy participation of NGOs should be
      diversified and substantialized such as participating committees having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the delegation of agricultural policy
      implementation. The objects of privatization of agricultural policy areas are
      education for consumers and general public and commercialized fields enabling to
      run projects without government supports. For example, the involved are the
      educa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and retuning to the farming,
      green tourism and rural amenity, consulting farming, and so on.
      Foreign cases shed some lights on reforming the mode of policy
      participation of NGOs. French Agricultural Lead Committee can be adopted.
      However, institutional improvement needs other previous conditions like
      government organizational reform.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Kim, Changgi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0092 0 1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